목차
Ⅰ. 필요성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분반 및 정원
3. 기간 및 시간
4. 분반 운영방법
5. 교육내용
6. 수행인력
7. 필요한 시설 및 장비
8. 협력관계
Ⅴ. 총괄 진행표
Ⅵ. 평가계획
1. 프로그램 평가 방법
2. 영역별 교육평가 도구 및 방법
참고문헌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분반 및 정원
3. 기간 및 시간
4. 분반 운영방법
5. 교육내용
6. 수행인력
7. 필요한 시설 및 장비
8. 협력관계
Ⅴ. 총괄 진행표
Ⅵ. 평가계획
1. 프로그램 평가 방법
2. 영역별 교육평가 도구 및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계획
1. 프로그램 평가 방법
1) 대상자 부모의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년 1회 실시한다.
2) 교육 성취도 평가
(1) 전체 아동 장·단기 목표 달성 평가
전체 아동 중에서 몇 %나 장·단기 목표를 달성했는지 평가한다.
(2) 개별 아동의 장·단기 목표 평가
개별 아동의 장·단기 목표를 5단계로 세분하여 평균적으로 전체 아동이 평균적으로 어느 단계에 진입했는지 평가한다.
3) 교육과정 평가
(1) 교육방법론 평가
각 영역의 담임교사와 교육책임자가 교육 성취도 평가를 기초로 하여 교육목표의 적합성, 교수법, 교구제작 및 활용법을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년 1회 평가한다.
(2) 월 교사 평가회
각 영역에서 개개의 아동에게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행했는가의 여부와 수행하지 못한 원인을 교사와 교육책임자가 토론식으로 매 월 1회 검토한다.
2. 영역별 교육평가 도구 및 방법
1) 가정생활
(1) 1차 평가 : 포테이지 관찰표와 사회성숙도 또는 적응행동검사 신변처리 및 자조기술 관련 하위영역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 적응행동검사,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2) 지역사회
(1) 1차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와 적응행동검사의 사회성 관련 하위영역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 적응행동검사,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3) 언어생활
(1) 1차 평가 : PLS(Preschool Language Screen Test), 포테이지 관찰표의 언어영역, EASIC(Evaluating Acquired Skills Communication)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PLS(Preschool Language Screen Test), 포테이지 관찰표의 언어영역, EASIC(Evaluating Acquired Skills Communication),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 평가
4) 기초학습
(1) 1차 평가 : 기초학습 기능검사, 교육진단검사
(2) 중간 검사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기초학습 기능검사, 교육진단 검사
참 고 문 헌
한국 정신지체아 교육연구회,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pp.145-205.
S. Bluma, Mshearer, A.Frohman 포테이지 아동발달 지침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9, pp.345-360.
임혜숙·김선, 주의 산만 아동에 대한 이해와 훈련 프로그램,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6, pp.21-46
김영태 이영철, 조기언어교육 프로그램,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pp.73-147.
박은하·정영숙, 대근육 운동 기능,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pp.41-99.
박은하·정영숙, 신변자립기능,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4. pp.39-99.
김영환, 정신지체아의 언어,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3. pp.207-211.
김상진, 혼자 입기, 하나·둘·셋, 기쁜 소식, 1993, pp.10-22.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진단·판정위원, 장애의 진단과 판정, 기쁜 소식, 1987, pp.158-345.
김옥기, 유균화, 경기도지체아동의 교육방법, 교육과학사, 1990, pp.42-59
김승국,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pp.127-206.
한성희, 특수교육학, 양서원, 1996, pp.27-56.
김삼섭,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pp.202-225.
김삼섭, 특수교육의 심리적 기초, 1992, pp.23-28.
1. 프로그램 평가 방법
1) 대상자 부모의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년 1회 실시한다.
2) 교육 성취도 평가
(1) 전체 아동 장·단기 목표 달성 평가
전체 아동 중에서 몇 %나 장·단기 목표를 달성했는지 평가한다.
(2) 개별 아동의 장·단기 목표 평가
개별 아동의 장·단기 목표를 5단계로 세분하여 평균적으로 전체 아동이 평균적으로 어느 단계에 진입했는지 평가한다.
3) 교육과정 평가
(1) 교육방법론 평가
각 영역의 담임교사와 교육책임자가 교육 성취도 평가를 기초로 하여 교육목표의 적합성, 교수법, 교구제작 및 활용법을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년 1회 평가한다.
(2) 월 교사 평가회
각 영역에서 개개의 아동에게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행했는가의 여부와 수행하지 못한 원인을 교사와 교육책임자가 토론식으로 매 월 1회 검토한다.
2. 영역별 교육평가 도구 및 방법
1) 가정생활
(1) 1차 평가 : 포테이지 관찰표와 사회성숙도 또는 적응행동검사 신변처리 및 자조기술 관련 하위영역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 적응행동검사,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2) 지역사회
(1) 1차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와 적응행동검사의 사회성 관련 하위영역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사회성숙도 검사, 적응행동검사,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3) 언어생활
(1) 1차 평가 : PLS(Preschool Language Screen Test), 포테이지 관찰표의 언어영역, EASIC(Evaluating Acquired Skills Communication)
(2) 중간 평가 :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PLS(Preschool Language Screen Test), 포테이지 관찰표의 언어영역, EASIC(Evaluating Acquired Skills Communication),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 평가
4) 기초학습
(1) 1차 평가 : 기초학습 기능검사, 교육진단검사
(2) 중간 검사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교육과정 평가
(3) 종결 평가 : 장·단기 목표에 근거한 자체평가, 기초학습 기능검사, 교육진단 검사
참 고 문 헌
한국 정신지체아 교육연구회,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pp.145-205.
S. Bluma, Mshearer, A.Frohman 포테이지 아동발달 지침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9, pp.345-360.
임혜숙·김선, 주의 산만 아동에 대한 이해와 훈련 프로그램,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6, pp.21-46
김영태 이영철, 조기언어교육 프로그램,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pp.73-147.
박은하·정영숙, 대근육 운동 기능,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pp.41-99.
박은하·정영숙, 신변자립기능,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4. pp.39-99.
김영환, 정신지체아의 언어,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3. pp.207-211.
김상진, 혼자 입기, 하나·둘·셋, 기쁜 소식, 1993, pp.10-22.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진단·판정위원, 장애의 진단과 판정, 기쁜 소식, 1987, pp.158-345.
김옥기, 유균화, 경기도지체아동의 교육방법, 교육과학사, 1990, pp.42-59
김승국,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pp.127-206.
한성희, 특수교육학, 양서원, 1996, pp.27-56.
김삼섭,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pp.202-225.
김삼섭, 특수교육의 심리적 기초, 1992, pp.23-28.
추천자료
언어치료프로그램의 입술훈련
언어치료프로그램-턱 훈련
언어치료프로그램-호흡훈련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장애의 개념,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종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의의, 장애인자립생활의 기반과 ...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개발) 농아인(청각 장애인) 자녀들을 위한 사회성 증대 프로그램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이야기글작문활동프로그램,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
배구 훈련 프로그램
전통놀이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 훈련프로그램
[프로그램 작성] 국내거주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문화 적응을 위한 언어 및 사회성 함양 프로그램
행동주의 부모교육(주장훈련) - 캔터의 주장훈련 프로그램
[가족의사소통교육] 의사소통교육의 필요성 가족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미네소타 부부대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