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각장애의 분류 및 정의
2. 시각장애학생의 발달 특성
3. 학습 환경 및 자료
4. 방향 정위와 이동
5. 교육적 지원방법
6. 시각장애아동 통합교육
<참고영상>
2. 시각장애학생의 발달 특성
3. 학습 환경 및 자료
4. 방향 정위와 이동
5. 교육적 지원방법
6. 시각장애아동 통합교육
<참고영상>
본문내용
1. 시각장애의 분류 및 정의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제15조
-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 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2)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 나쁜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인 사람
-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 이하로 남은 사람
- 두 눈의 시야 ½ 이상을 잃은 사람
2. 시각장애학생의 발달 특성
1) 신체 및 운동 능력 발달
- 영유아기 기기, 걷기와 같은 역동적 기능에서 늦은 발달
- 한 발로 서기, 균형 잡기, 점프하기, 발끝 걷기 등에 제한
- 주위에 물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음
- 협응, 자세 조절, 운동 수행, 이동 기술 등 기본적 신체활동에서 한계를 보임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제15조
-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 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2)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 나쁜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인 사람
-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 이하로 남은 사람
- 두 눈의 시야 ½ 이상을 잃은 사람
2. 시각장애학생의 발달 특성
1) 신체 및 운동 능력 발달
- 영유아기 기기, 걷기와 같은 역동적 기능에서 늦은 발달
- 한 발로 서기, 균형 잡기, 점프하기, 발끝 걷기 등에 제한
- 주위에 물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음
- 협응, 자세 조절, 운동 수행, 이동 기술 등 기본적 신체활동에서 한계를 보임
키워드
추천자료
통합교육의 정의, 당위성, 형태 및 학습장애아동의 효과적인 통합교육 지도 요건
장애아동 특수교육 현실과 과제
장애아가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아부모교육(장애아동부모교육)의 필요성, 부모로서의 ...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
장애아동 통합교육
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개선을 위한 아동통합교육
[프로그램개발과평가]장애인과 비장애인아동의 통합교육
장애아동 특수교육의 정의 및 개념, 특수교육의 목적 및 특성, 특수교육의 필요성 및 과제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교육 사례 보고서
[특수교육학개론] 장애 학생은 특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장애통합교육]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장단점
시각청각장애아동의교육, 시각장애, 시각장애아동의특성, 시각장애아동의교육, 청각장애, 청...
(특수아교육 D형) 의사소통장애, 시각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