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동양의 지옥사상
1.불교의 지옥관
Ⅲ.서양의 지옥사상
1.기독교의 지옥관
Ⅳ.동서양 지옥도의 비교
1.감로도
2.최후의 심판
3. 감로도와 최후의 심판의 비교
Ⅴ.나가는 말
Ⅰ들어가는 말
Ⅱ.동양의 지옥사상
1.불교의 지옥관
Ⅲ.서양의 지옥사상
1.기독교의 지옥관
Ⅳ.동서양 지옥도의 비교
1.감로도
2.최후의 심판
3. 감로도와 최후의 심판의 비교
Ⅴ.나가는 말
본문내용
이 시대 인과관계인 어떤 결과가 곧 원인이 되고 다른 결과를 생겨나게 한다는 인과사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것은 곧 모든 것은 무한한 시간과 공간에 걸쳐서 이어져 있다는 것이며 선악의 행위에 따라서 결과가 온다고 하는 인과의 도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윤리적 도덕적 행위를 이루어가는 동양사상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최후의 심판은 불교의 지옥도와는 달리 작가의 상사역이 지옥장면에 구체적으로 묘사되지 않고 다만 선인과 악인들의 현세에서의 선행과 악행만을 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합리적인 이성이 인간생활의 가장 중요한 본질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의 기본적인 사상을 엿볼 수 있다.
Ⅴ.나가는 말
동양과 서양의 지옥을 비교하면 먼저 감로도는 망자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의식(儀式)를 베풂으로써 윤회의 굴레를 헤매는 중생들도 고통에서 벗어나 극락왕생 할 수 있다는 바램을 나타낸 것이며, 최후의 심판은 심판 이 전에 회개가 요구되기 때문에 바로 지금 선행을 하라는 아주 급한 목소리가 담겨있다. 또 동 서양의 지옥도에 나타난 인간모습의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는데, 감로도에서는 악인의 이승에서의 억압을 보여주고 있다기보다는 악업으로 인하여 이러한 고통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러한 고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최후의 심판에 등장하는 인간의 모습은 선인과 악의 두 유형으로 양분되며 이중 선인은 각자 그들의 선행을 악인들은 현세에서의 그들의 악행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는 지옥세계에서 죄를 사함 받는 구체적인 표현이 되어 있지 않고 부활 받는 장면만 묘사되어 있다.
이에 비해 최후의 심판은 불교의 지옥도와는 달리 작가의 상사역이 지옥장면에 구체적으로 묘사되지 않고 다만 선인과 악인들의 현세에서의 선행과 악행만을 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합리적인 이성이 인간생활의 가장 중요한 본질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의 기본적인 사상을 엿볼 수 있다.
Ⅴ.나가는 말
동양과 서양의 지옥을 비교하면 먼저 감로도는 망자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의식(儀式)를 베풂으로써 윤회의 굴레를 헤매는 중생들도 고통에서 벗어나 극락왕생 할 수 있다는 바램을 나타낸 것이며, 최후의 심판은 심판 이 전에 회개가 요구되기 때문에 바로 지금 선행을 하라는 아주 급한 목소리가 담겨있다. 또 동 서양의 지옥도에 나타난 인간모습의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는데, 감로도에서는 악인의 이승에서의 억압을 보여주고 있다기보다는 악업으로 인하여 이러한 고통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러한 고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최후의 심판에 등장하는 인간의 모습은 선인과 악의 두 유형으로 양분되며 이중 선인은 각자 그들의 선행을 악인들은 현세에서의 그들의 악행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는 지옥세계에서 죄를 사함 받는 구체적인 표현이 되어 있지 않고 부활 받는 장면만 묘사되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