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독서학습 교육의 주체
3. 독서학습 교육의 이념과 목적
1) 인간상
2) 독서학습교육의 목적
4. 독서학습 교육의 내용
1) 독서학습의 자료
2) 독서학습의 인격적 영역
5. 독서학습 교육의 방법
1) 방법론적 원리와 구조화의 영역
2) 독서 기술의 영역
6. 독서학습 교육의 장(場)
7. 독서학습 교육의 과정
1) 지식의 수준(Knowledge)
2) 이해의 수준:(Comprehension)
3) 적용의 수준(Application)
4) 분석 수준( Analysis)
5) 종합하여 생각하기 수준(Aynthesis)
6) 판단의 수준(Evaluation)
8. 나오는 말
2. 독서학습 교육의 주체
3. 독서학습 교육의 이념과 목적
1) 인간상
2) 독서학습교육의 목적
4. 독서학습 교육의 내용
1) 독서학습의 자료
2) 독서학습의 인격적 영역
5. 독서학습 교육의 방법
1) 방법론적 원리와 구조화의 영역
2) 독서 기술의 영역
6. 독서학습 교육의 장(場)
7. 독서학습 교육의 과정
1) 지식의 수준(Knowledge)
2) 이해의 수준:(Comprehension)
3) 적용의 수준(Application)
4) 분석 수준( Analysis)
5) 종합하여 생각하기 수준(Aynthesis)
6) 판단의 수준(Evaluation)
8. 나오는 말
본문내용
있음, 주제, 자신의 예문, 그리고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것 등이 있다. 독자가 글을 이해하는 과정은 인코딩과 디코딩의 순환적인 과정이다. 디코딩이란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생각의 단위를 따로 떼어 놓은 것이며 인코딩이란 그렇게 따로 떼어낸 조각(문단, 소주제,이이디어, 정보)들을 서로 연결시켜 보는 것이다. 이런과정을 통해 글의 뜻을 이해하고 해석하면서 상반되게 이해했을 수도 있다(독서의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한다. 아무리 탁월한 독자라도 한 권의 책을 한 번 읽고 100% 이해 할 수는 없는 일이기에). 이해한 바를 자신의 언어로 말할 수 있으며 줄거리를 자기의 해석에 의해 나열하고 예문을 들고 작가가 선택한 상징의 의미를 말 할 수 있고 감상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3) 적용의 수준(Application)
세번째는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단계로 "종합적 사고"(convergent thinking)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는 여러가지 일이나 사실이 나열되어 있을 때 조직적으로 정돈해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예컨대 한 권의 책을 읽고 문단들의 소 주제를 파악한 다음 그것들이 종합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보들을 원칙을 세워 분류하고 모두 합하여 결과를 끌어 낼 수 있는 정신집중력이 필요하다. 종합적 독서 단계에는 다시 해석(interpretation) 능력과 응용(application)능력이 있다. 해석이란 여러 책이나 다른 자료에서 정보들을 순서적으로 나열하고 그 나열된 사실로부터 연결성을 파악하고 저자가 글을 쓴 목적을 분석해 내는 능력이다. 응용이란 여러 가지 책이나 다른 자료에서 자기의 생각을 순서적으로 나열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다. 읽기의 목적은 실용성이 있어서 응용이 가능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차원을 포함한다.
이단계에서 읽기 활동은 예측과 요점파악, 결과, 여파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독자는 다음 문장을 읽지 않아도 어떻게 사건이 전개될 지 예측할 수 있다. 또 사건과 사건 사이, 문장과 문장 사이에 갭을 상상력을 통해서 메꾸어가며 읽고 있는 것이다. 상상력이 없이 책을 읽는다면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거의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독자는 글을 읽을 때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사건을 요약하고 있으며 사건의 인과 관계를 추론하고 읽는다.
4) 분석 수준( Analysis)
분석할 수 있는 단계이다. 분석능력(analytical thinking)이 요구된다. 이 단계는 위의 세 단계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분석이란 (1) 사실을 간단한 것부터 복잡한 것으로 전개하는 글, (2) 설명하는 글, (3) 형용하는 글, (4) 남을 설득하는 글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은 디코딩을 포함하는 것이며 글의 문단을 구별하고 그 문단들의 소 주제들을 파악하여 문단과 문단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분석하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다.
5) 종합하여 생각하기 수준(Aynthesis)
종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단계로서 창의력(divergent thinking)이 요구된다. 창의력이란 주어진 사실 하나를 놓고 여러가지를 생각해 낼 수 있는 발산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창의력이 있다는 것은 주어진 사실 이외에 스스로의 창작 능력으로 더 많은 것을 생각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설을 전개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여러가지로 관점을 바꾸어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기존의 재료를 서로 분류, 비교, 연결, 재구성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
6) 판단의 수준(Evaluation)
읽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단계로 판단력이 요구된다. 판단력이란 일정한 기준을 세워서 어떤 행동이나 생각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독서에 있어서 판단력이란 기본적으로는 책의 장르가 무엇인지를 구별하는 데서부터 읽은 '내용으로 생각을 넓히기도 하고 더 깊이 파고들어 갈 줄도 아는 능력'을 말한다.(전정재, 2001. p41)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론(Critical Thinking) 능력이 필요하다. 추론은 생각의 수준 가운데 가장 높은 단계로서 주어진 정보로부터 새로운 사실을 유추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
전정재의 설명에 따르면 위의 독서수준의 발달단계는 계통적이다. 다시 말해서 낮은 단계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하면 그 다음 단계의 습득이 어렵다. 그러나 실제 독서상황에서는 이 여섯 가지 단계가 모두 역동적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한편 모티모 J. 애들러는 독서의 수준을 네 단계로 구분하는데 첫 번 째 단계는 독서 준비 단계로서 신체적인 준비, 문자의 해독, 문장을 이해하는 정도이다. 두 번 째 단계는 점검 독서로서 책의 전체 개요를 훑어보는 것이다.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부분을 보는 독서전략인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세 번 째 단계가 분석독서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가 독서의 제 4수준인 통합독서이다. 이는 한 주제를 가지고 두 권 이상의 책을 동시에 읽어내는 가장 수준 높은 차원의 읽기이다.
그런데 여기까지 논의된 독서에서 한가지 취약점이 있다면 문학작품 읽기가 충실히 다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문학작품은 심미적인 차원을 포함하고 있고 문단의 개념이나 글을 전개해 나가는 것 자체가 비문학적 글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위의 독서 수준들이 기초가 되면서도 또 다른 차원에서 독서전략이 필요한데 그것이 서사학이다. 서사학은 인간과 인간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을 다룰 수 있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문학작품으로서의 서사물을 체계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사이론을 적용한 문학작품 분석은 독서의 꽃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서사적 글읽기는 독서의 단계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라고 본다.
8. 나오는 말
이상으로 교육의 핵심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독서학습 교육론을 전개해 보았다. 글을 마치면서 전정재의 글이 생각난다. "아이들에게 (책을)읽어 주면, 아이들의 생각이 자라고, 아이들과 같이 읽으면 아이들은 생각이 커지고, 아이들이 (스스로)읽으면 아이들은 생각의 날개를 편다."(전정재, p.123).
3) 적용의 수준(Application)
세번째는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단계로 "종합적 사고"(convergent thinking)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는 여러가지 일이나 사실이 나열되어 있을 때 조직적으로 정돈해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예컨대 한 권의 책을 읽고 문단들의 소 주제를 파악한 다음 그것들이 종합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보들을 원칙을 세워 분류하고 모두 합하여 결과를 끌어 낼 수 있는 정신집중력이 필요하다. 종합적 독서 단계에는 다시 해석(interpretation) 능력과 응용(application)능력이 있다. 해석이란 여러 책이나 다른 자료에서 정보들을 순서적으로 나열하고 그 나열된 사실로부터 연결성을 파악하고 저자가 글을 쓴 목적을 분석해 내는 능력이다. 응용이란 여러 가지 책이나 다른 자료에서 자기의 생각을 순서적으로 나열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다. 읽기의 목적은 실용성이 있어서 응용이 가능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차원을 포함한다.
이단계에서 읽기 활동은 예측과 요점파악, 결과, 여파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독자는 다음 문장을 읽지 않아도 어떻게 사건이 전개될 지 예측할 수 있다. 또 사건과 사건 사이, 문장과 문장 사이에 갭을 상상력을 통해서 메꾸어가며 읽고 있는 것이다. 상상력이 없이 책을 읽는다면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거의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독자는 글을 읽을 때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사건을 요약하고 있으며 사건의 인과 관계를 추론하고 읽는다.
4) 분석 수준( Analysis)
분석할 수 있는 단계이다. 분석능력(analytical thinking)이 요구된다. 이 단계는 위의 세 단계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분석이란 (1) 사실을 간단한 것부터 복잡한 것으로 전개하는 글, (2) 설명하는 글, (3) 형용하는 글, (4) 남을 설득하는 글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은 디코딩을 포함하는 것이며 글의 문단을 구별하고 그 문단들의 소 주제들을 파악하여 문단과 문단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분석하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다.
5) 종합하여 생각하기 수준(Aynthesis)
종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단계로서 창의력(divergent thinking)이 요구된다. 창의력이란 주어진 사실 하나를 놓고 여러가지를 생각해 낼 수 있는 발산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창의력이 있다는 것은 주어진 사실 이외에 스스로의 창작 능력으로 더 많은 것을 생각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설을 전개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여러가지로 관점을 바꾸어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기존의 재료를 서로 분류, 비교, 연결, 재구성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
6) 판단의 수준(Evaluation)
읽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단계로 판단력이 요구된다. 판단력이란 일정한 기준을 세워서 어떤 행동이나 생각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독서에 있어서 판단력이란 기본적으로는 책의 장르가 무엇인지를 구별하는 데서부터 읽은 '내용으로 생각을 넓히기도 하고 더 깊이 파고들어 갈 줄도 아는 능력'을 말한다.(전정재, 2001. p41)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론(Critical Thinking) 능력이 필요하다. 추론은 생각의 수준 가운데 가장 높은 단계로서 주어진 정보로부터 새로운 사실을 유추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
전정재의 설명에 따르면 위의 독서수준의 발달단계는 계통적이다. 다시 말해서 낮은 단계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하면 그 다음 단계의 습득이 어렵다. 그러나 실제 독서상황에서는 이 여섯 가지 단계가 모두 역동적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한편 모티모 J. 애들러는 독서의 수준을 네 단계로 구분하는데 첫 번 째 단계는 독서 준비 단계로서 신체적인 준비, 문자의 해독, 문장을 이해하는 정도이다. 두 번 째 단계는 점검 독서로서 책의 전체 개요를 훑어보는 것이다.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부분을 보는 독서전략인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세 번 째 단계가 분석독서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가 독서의 제 4수준인 통합독서이다. 이는 한 주제를 가지고 두 권 이상의 책을 동시에 읽어내는 가장 수준 높은 차원의 읽기이다.
그런데 여기까지 논의된 독서에서 한가지 취약점이 있다면 문학작품 읽기가 충실히 다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문학작품은 심미적인 차원을 포함하고 있고 문단의 개념이나 글을 전개해 나가는 것 자체가 비문학적 글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위의 독서 수준들이 기초가 되면서도 또 다른 차원에서 독서전략이 필요한데 그것이 서사학이다. 서사학은 인간과 인간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을 다룰 수 있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문학작품으로서의 서사물을 체계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사이론을 적용한 문학작품 분석은 독서의 꽃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서사적 글읽기는 독서의 단계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라고 본다.
8. 나오는 말
이상으로 교육의 핵심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독서학습 교육론을 전개해 보았다. 글을 마치면서 전정재의 글이 생각난다. "아이들에게 (책을)읽어 주면, 아이들의 생각이 자라고, 아이들과 같이 읽으면 아이들은 생각이 커지고, 아이들이 (스스로)읽으면 아이들은 생각의 날개를 편다."(전정재, p.123).
추천자료
- 과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특징과 내용체계, 과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 [수학과교육][고등학교수학]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성격,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목...
-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특성,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목표, 무용학습(무용...
-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 교육중점,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음...
-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필요성,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
- 미술과(미술수업, 미술교육)의 의미와 성격, 미술과(미술수업, 미술교육)의 목표와 원리, 미...
-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목표,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내용구성, 미술과(미술학...
- [사회과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개정배경,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업형태, 초등학교 ...
-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ICT, 국어과(...
- 미술과(미술과학습, 미술교육)의 특성과 목적, 미술과(미술과학습, 미술교육)의 교육 중점, ...
-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성격과 내용,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지도상유의점, 미...
-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성격과 기능,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내용구성, 미술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