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 토마스 아퀴나스>
1. 라틴 아베로에스 주의자들
2. 보수적인 아우구스티누스 주의자
3. 둔스 스코투스
<중세의 몰락>
1. 라틴 아베로에스 주의자들
2. 보수적인 아우구스티누스 주의자
3. 둔스 스코투스
<중세의 몰락>
본문내용
세웠습니다.
당시 페스트와 전쟁 등으로 난국에 직면한 이들은 종교를 통하여 새로운 힘을 얻으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당시 가톨릭 교회는 위기를 극복할 의지와 능력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했습니다. 종교 지도력의 약화로 기독교내의 통일성까지 해체된 발단을 아비뇽 유폐로 볼 수 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의 갈등으로 시작이 됩니다. 보니파시오는 시대를 읽지 못하고 국왕 위에 군림 하려고 하였지만, 백년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 프랑스 왕은 교회에까지 세금을 물리기 시작하면서 교황과 왕의 갈등이 표출되기 시작했습니다. 교황은 과세를 금지하고 왕을 파문하려 하지만 오히려 굴욕적인 연금과 폭행 후에 병으로 사망하는 치욕적인 삶을 마무리 하게 됩니다.
이후 교황의 권위 실추로 외부 세력과의 마찰과 내부의 추기경단의 분열로 더 어려운 상황이 되고 결국 클레멘스 5세 때 1309년에 프랑스 아비뇽으로 교황청을 옮겨야만 했습니다. 1309-1377년까지 7명의 교황이 아비뇽에 머무르게 되었고 이를 유대인들의 포로생활을 비유하여 아비뇽 유폐라고 불렀습니다.
사건의 파장은 아비뇽에서 클레멘스 5세는 굴욕적인 타협정책을 일삼아 성전 기사 수도회를 폐지, 수도회의 재산 탈취를 방관하면서 교황청의 권위는 상실되어졌고, 프랑스 왕권의 무제한 독재를 지향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 사건이 국교회 주의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서구 대인교 사건으로 교회의 지도력은 더욱 약화되었고,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 결국 1377년 로마로 귀환하게 되었지만 아비뇽과 로마에 두 교황이 선출되고 더 혼란이 가중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3의 대립 교황이 선출되는 등 혼란이 가중됩니다.
유럽 사회를 뒤덮은 재앙의 물결은 시민들의 삶과 문화까지 변화시키게 됩니다. 중세 말기에는 도피주의적으로 사치품에 대한 집착현상이 초래되었고, 죽음의 상황을 즉면 했던 귀족들은 우아한 예절, 성대한 장치, 현란한 의상 등 꿈의 세계 속에서 정서적인 위안을 구하려 하였습니다. 그리고 종교적으로 그리스도의 수난과 자신의 죽음에 대한 고찰이 심화되었고, 심지어는 동정녀 마리아를 미소 짓는 모습보다 비탄의 어머니로 표현하게 됩니다. 그 외에 문화적으로 조각, 플레스코, 서적의 삽화에서도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을 보여주는데, 이는 당시 견디기 힘들었던 3중고를 통한 그릇된 페러다임의 전환을 일으킨 듯 싶습니다.
당시 페스트와 전쟁 등으로 난국에 직면한 이들은 종교를 통하여 새로운 힘을 얻으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당시 가톨릭 교회는 위기를 극복할 의지와 능력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했습니다. 종교 지도력의 약화로 기독교내의 통일성까지 해체된 발단을 아비뇽 유폐로 볼 수 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의 갈등으로 시작이 됩니다. 보니파시오는 시대를 읽지 못하고 국왕 위에 군림 하려고 하였지만, 백년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 프랑스 왕은 교회에까지 세금을 물리기 시작하면서 교황과 왕의 갈등이 표출되기 시작했습니다. 교황은 과세를 금지하고 왕을 파문하려 하지만 오히려 굴욕적인 연금과 폭행 후에 병으로 사망하는 치욕적인 삶을 마무리 하게 됩니다.
이후 교황의 권위 실추로 외부 세력과의 마찰과 내부의 추기경단의 분열로 더 어려운 상황이 되고 결국 클레멘스 5세 때 1309년에 프랑스 아비뇽으로 교황청을 옮겨야만 했습니다. 1309-1377년까지 7명의 교황이 아비뇽에 머무르게 되었고 이를 유대인들의 포로생활을 비유하여 아비뇽 유폐라고 불렀습니다.
사건의 파장은 아비뇽에서 클레멘스 5세는 굴욕적인 타협정책을 일삼아 성전 기사 수도회를 폐지, 수도회의 재산 탈취를 방관하면서 교황청의 권위는 상실되어졌고, 프랑스 왕권의 무제한 독재를 지향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 사건이 국교회 주의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서구 대인교 사건으로 교회의 지도력은 더욱 약화되었고,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 결국 1377년 로마로 귀환하게 되었지만 아비뇽과 로마에 두 교황이 선출되고 더 혼란이 가중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3의 대립 교황이 선출되는 등 혼란이 가중됩니다.
유럽 사회를 뒤덮은 재앙의 물결은 시민들의 삶과 문화까지 변화시키게 됩니다. 중세 말기에는 도피주의적으로 사치품에 대한 집착현상이 초래되었고, 죽음의 상황을 즉면 했던 귀족들은 우아한 예절, 성대한 장치, 현란한 의상 등 꿈의 세계 속에서 정서적인 위안을 구하려 하였습니다. 그리고 종교적으로 그리스도의 수난과 자신의 죽음에 대한 고찰이 심화되었고, 심지어는 동정녀 마리아를 미소 짓는 모습보다 비탄의 어머니로 표현하게 됩니다. 그 외에 문화적으로 조각, 플레스코, 서적의 삽화에서도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을 보여주는데, 이는 당시 견디기 힘들었던 3중고를 통한 그릇된 페러다임의 전환을 일으킨 듯 싶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 Germain Grisez의 자연법사상 연구
- 서양중세철학
- Germain Grisez의 자연법사상연구
- 시대적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 - 고대 경제사상, 중세의 경제사상, 중농주의 중상주의, 고...
- 교육철학
- 교육철학의 정의
- 도미니크 학파
-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로서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행동주의
- 교육철학 정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
- 법의 임무와 역할
- 참삶의 길
- [윤리사상][원불교][유가][동양][서양][중세크리스트교][퇴계 이황][율곡 이이]원불교윤리사...
- [교육철학][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사상)의 정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능, 주요 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