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론 수업 준비하기
1. 토론 주제 마련하기
(1) 토론 주제 어떻게 정해야 하나?
(2) 나쁜 토론주제를 피하자
2. 선생님이 준비해야 할 것
(1) 자료를 잘 준비하자
(2) 시작 준비와 마무리 준비를 잘 하자
(3) 아이들에게 토론 자료는 가능하면 미리 나누어주고 생각을 해오도록 하자
1. 토론 주제 마련하기
(1) 토론 주제 어떻게 정해야 하나?
(2) 나쁜 토론주제를 피하자
2. 선생님이 준비해야 할 것
(1) 자료를 잘 준비하자
(2) 시작 준비와 마무리 준비를 잘 하자
(3) 아이들에게 토론 자료는 가능하면 미리 나누어주고 생각을 해오도록 하자
본문내용
찾아내는 것이다. 먼저 토론 주제에 관련된 자료를 최대한 찾아서 꼼꼼히 읽고, 그 중에서 아이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보는 것이 좋겠다. 선생님만이 아니라 아이들도 자료를 잘 읽고 토론을 하면 토론이 훨씬 풍부해진다.
그렇지만 자료를 준비할 때 주의할 점은 너무 답이 정해져있는 자료들은 오히려 토론을 망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특히 활자화된 것에 대한 맹신이 강하기 때문에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소화하기에는 무척 어렵다. 그래서 가능하면 문제제기를 던져줄 수 있는 자료를 선택해야 하지 내가 이야기하는 것, 토론에서 결론으로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적어놓은 자료는 피하도록 하자. 물론 그런 자료는 토론이 모두 끝난 이후 정리용으로 아이들에게 나눠줄 수도 있다.
(2) 시작 준비와 마무리 준비를 잘 하자.
토론을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에게 왜 이 토론을 하고자 하는지 문제의식을 던져주어야 한다. 그래야 토론 분위기도 진지해진다. 나는 전에 토론을 시작하기 전에 그것과 관계있는 시를 먼저 읽어준 적이 있었다. 그 시에 대한 호응이 매우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것은 하나의 방법인데, 선생님들마다 독특하게 문제의식을 던지고 관심을 이끌만한 내용을 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겠다.
처음 시작할 때는 먼저 아이들 관심을 끌만한 이야기를 던지고, 그 다음에는 문제제기를 해야 하는데 그 내용은 왜 이런 주제가 우리에게 중요하고, 우리가 왜 이 토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환경문제에 대한 토론을 한다고 하면 우리 집에서 기르는 화초 이야기를 시작으로 해서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고, 환경오염에 관한 화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그러면서 환경문제가 왜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되었는지 몇몇 유명한 사람의 말을 인용할 수도 있고, 환경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몇가지 사례를 들면서 이야기를 풀어볼 수도 있다.
그리고 마무리 준비도 잘 해야 한다. 마무리를 잘해야 토론을 잘 한 효과가 나타난다.
가능하면 아이들이 토론한 문제가 아이들 자신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보여주고, 또는 아이들 토론에서 문제가 된 점을 뽑아서 이후에 과제로 제기해주고, 또는 아이들이 토론한 것에 대해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해왔는지를 이야기해줄 수도 있고, 이 토론 내용을 삶의 태도에 관한 문제로 연결시켜줄 수도 있다.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 효과적일지 미리 생각해보고, 마무리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다.
(3) 아이들에게 토론 자료는 가능하면 미리 나누어주고 생각을 해오도록 하자.
토론 주제는 반드시 미리 나누어주는 것이 좋다. 당일날 바로 생각하려면 생각이 잘 안나서 토론이 잘 안되기도 하는데, 미리 자기의 생각을 적어오게 하면 토론이 훨씬 잘된다. 때로는 아이들이 직접 자료를 찾아서 토론 내용을 준비해오기도 한다. 그리고 마무리 자료를 제외하고는 토론 자료를 미리 나누어주어서 읽어오게 하고, 선생님이 제시한 토론 주제 이외에도 꼭 이야기해보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생각해오도록 하자. 이런 준비들이 토론을 풍부하게 만들 것이다.
그렇지만 자료를 준비할 때 주의할 점은 너무 답이 정해져있는 자료들은 오히려 토론을 망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특히 활자화된 것에 대한 맹신이 강하기 때문에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소화하기에는 무척 어렵다. 그래서 가능하면 문제제기를 던져줄 수 있는 자료를 선택해야 하지 내가 이야기하는 것, 토론에서 결론으로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적어놓은 자료는 피하도록 하자. 물론 그런 자료는 토론이 모두 끝난 이후 정리용으로 아이들에게 나눠줄 수도 있다.
(2) 시작 준비와 마무리 준비를 잘 하자.
토론을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에게 왜 이 토론을 하고자 하는지 문제의식을 던져주어야 한다. 그래야 토론 분위기도 진지해진다. 나는 전에 토론을 시작하기 전에 그것과 관계있는 시를 먼저 읽어준 적이 있었다. 그 시에 대한 호응이 매우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것은 하나의 방법인데, 선생님들마다 독특하게 문제의식을 던지고 관심을 이끌만한 내용을 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겠다.
처음 시작할 때는 먼저 아이들 관심을 끌만한 이야기를 던지고, 그 다음에는 문제제기를 해야 하는데 그 내용은 왜 이런 주제가 우리에게 중요하고, 우리가 왜 이 토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환경문제에 대한 토론을 한다고 하면 우리 집에서 기르는 화초 이야기를 시작으로 해서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고, 환경오염에 관한 화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그러면서 환경문제가 왜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되었는지 몇몇 유명한 사람의 말을 인용할 수도 있고, 환경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몇가지 사례를 들면서 이야기를 풀어볼 수도 있다.
그리고 마무리 준비도 잘 해야 한다. 마무리를 잘해야 토론을 잘 한 효과가 나타난다.
가능하면 아이들이 토론한 문제가 아이들 자신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보여주고, 또는 아이들 토론에서 문제가 된 점을 뽑아서 이후에 과제로 제기해주고, 또는 아이들이 토론한 것에 대해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해왔는지를 이야기해줄 수도 있고, 이 토론 내용을 삶의 태도에 관한 문제로 연결시켜줄 수도 있다.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 효과적일지 미리 생각해보고, 마무리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다.
(3) 아이들에게 토론 자료는 가능하면 미리 나누어주고 생각을 해오도록 하자.
토론 주제는 반드시 미리 나누어주는 것이 좋다. 당일날 바로 생각하려면 생각이 잘 안나서 토론이 잘 안되기도 하는데, 미리 자기의 생각을 적어오게 하면 토론이 훨씬 잘된다. 때로는 아이들이 직접 자료를 찾아서 토론 내용을 준비해오기도 한다. 그리고 마무리 자료를 제외하고는 토론 자료를 미리 나누어주어서 읽어오게 하고, 선생님이 제시한 토론 주제 이외에도 꼭 이야기해보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생각해오도록 하자. 이런 준비들이 토론을 풍부하게 만들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