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인류학과 언어, 문화 결정론 (언어인류학은 왜 생겨났는가, 언어결정론과 문화결정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인류학과 언어, 문화 결정론 (언어인류학은 왜 생겨났는가, 언어결정론과 문화결정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언어인류학과 두 가지 결정론
- 언어인류학은 왜 생겨났는가
- 언어결정론과 문화결정론
3. 언어와 문화에 대하여...
4. 결론

본문내용

때 어느 것이 영향력이 더 센지 논의하는 학설들이 있다. 그러나 이전에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은 둘 사이의 영향력을 비교할 수 있는가이다. 언어는 언어만의 역할이 있고 문화도 마찬가지이다. 그 둘 중 어느 것이 더 입김이 세서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치는가 따져보는 것은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이론들이 존재하기에 한 발 양보해 보아서 둘 사이에 언제나 통하는 절대적인 우위는 없다고 하여,. 상황에 따라 언어가 문화의 부분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고, 문화가 언어를 규정짓는다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눈이 많이 내리는 북극 지방이나 쌀을 주식으로 하여 쌀에 관한 언어가 많은 우리나라의 사례들을 통해 문화가 언어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가 문화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시제나 색깔어를 통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이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언어가 문화를 결정짓는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제나 색깔어가 만들어진 계기를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 보인다. 어떤 언어에는 있고 다른 언어에는 발달하지 않은 특이성이 있다면 분명 그렇게 된 이유가 있을 텐데, 만들어지게 된 그 이유를 역으로 문화에서 찾게 된다. 그 민족의 시간에 대한 태도의 차이와 색깔을 인식하는 태도가 다른 것이다. 그렇기에 다른 언어 특질이 나타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규정된 언어가 그 이후에 영향력을 미쳐 그 사고를 더욱 심화시킨 것이다. 언어가 문화에 영향력을 끼치는 경우는 결국 그 이전에 문화가 언어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보아 상황에 따라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언어를 대등한 비교 관계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언어는 문화에 항상 영향을 받는 관계이다. 언어는 도구로서 의사소통의 기능과 함께 문화를 표현하는 기능이라는 범주에 넣어야 하는 것이 옳다.
4. 결론
지금까지 언어와 문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질적으로도 언어와 문화는 상호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에 대하여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 학습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아 단원에서 함께한 ‘언어와 사고’도 포함하여 인간의 언어와 사고,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언어와 문화의 관계와, 그것을 둘러싼 수많은 가설들은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음을 말해주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4.22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4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