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
저는 남학생입니다. 성격이 내성적이라 고민이 많이 됩니다. 외향적인 성격의 친구들이 부럽습니다. 앞으로 사회생활을 잘해 나갈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사는 것이 힘들다고 느껴집니다.
* * * 올림
사람의 성격은 타고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성격을 바꿀 수가 없다고 합니다. 특히 내성적, 외향적인 성격은 요. 내성적인 성격이란 자기의 정신 에너지가 자기 내부로 향하는 성격입니다. 그래서 내성적인 사람은 내적인 일, 예를 들어 글을 쓴다거나 공상을 한다거나 혼자 골머리 앓는 등에는 아주 뛰어난 힘을 발휘하지만 개인 관계나 집단에의 적응 등에는 아주 미숙합니다. 그래서 사회에 적응을 해야 하는 청소년기 때 내성적인 사람은 무진 마음고생을 합니다. 세상이 다 자기 같지 않기 때문이죠. 그러나 그렇다고 그 고생이 평생을 가는 것은 아닙니다. 기반도 어느 정도 잡히고 나이도 들어 굳이 세상에 아득바득 적응하지 않아도 될 때는 내성적인 사람이 훨씬 유리합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사회에서 자기를 확인하려고 아등바등하지만 내성적인 사람은 조용히 내면을 들여다보면서 고고하게 지내기 때문이죠.
그래서 인생의 전반기에는 외향적인 사람이, 후반기에는 내성적인 사람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내성적인 사람이 인생의 전반기에 항상 죽어지내라는 법은 없습니다. 내성적인 사람은 그렇게 많은 친구나 인간관계가 필요한 것이 아니니까 욕심만 내지 않는다면 또 잘 나가는 외향적인 사람들을 부러워하지만 않는다면 나름대로 적응할 수 있는 길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는 자기 같이 내성적인 애를 한두 명 사귀고 나머지는 혼자 줄길 수 있는 일,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이나 영화, 만화, 소설 등의 세계에 깊이 빠지는 거죠.
내성적인 사람은 외적 적응력은 떨어지는 반면에 감성적인 면에서는 아주 풍부하니까 그런 자기만의 놀이 등을 아주 인상 깊게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세월을 가다보면 차츰 자기와 맞는 친구도 하나 둘 생겨 편해질 수가 있는 거죠. 저 또한 내성적이라 청소년기 때는 참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남들이 적응하고 대인 관계를 맺는 것에 비해 너무 미숙했기 때문이죠.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혼자서 지내는 습성은 저를 아주 편하게 해줍니다. 제 학교 성적을 봐도 초반에는 헤매다가 마지막에 가서야 조금씩 좋아지곤 하는 것을 발견하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저희 집 가훈을 '대기만성'이라고 정했습니다. 성격은 대개 유전이 되니 내성적인 우리 아이들이 처음부터 남들같이 빠릿빠릿하지 못하다고 너무 주눅 들지 않게 말이죠.
귀하도 지금은 지옥 같은 고통을 받고 있지만 너무 잘 적응하는 남들만 부러워하지만 말고 자기대로 적응하는 방식을 발견하다 보면 길이 있고 또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래도 쓸만한게 있을 겁니다. 사람은 죽으란 법이 없고 또 내성적인 사람은 내성적인 대로 이 삶에서 자기 역할을 할 수 있게 운명지어지고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수십억 년 생명의 진화에서도 살아남은 것이 아닐까요.
김정일 / 김정일 정신과 원장
‘축복받은 성격’과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은 둘 다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 전문가인 글쓴이의 조언을 듣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갈래상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축복받은 성격’은 수필이면서 칼럼으로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글쓴이의 생각을 불특성 다수의 신문독자가 공감할 수 있게 보편적인 생각으로 확장하여 쓴 글이다. 그러나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은 편지로서 특정한 상대에게 전하고 싶은 자신의 생각을 언어 예절과 구어체로서 주고 받는 사람 모두 심리적으로 김밀한 유대감이 형성되는 실용적이고 사교성이 강한 글이다.
3. 형성평가
1. 이와 같은 글을 읽는 방법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하게 읽는다.
② 글의 마지막 부분을 주의 깊게 읽는다.
③ 내용에 대한 궁금점을 적어 가며 읽는다.
④ 글쓴이의 주장을 정리하면서 무조건 이해한다.
⑤ 글의 제목과 대화 내용을 통해 글의 내용을 짐작한다.
2. 이 글을 읽고 난 후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아무리 능력이 있으면 뭐 해.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으려면 역시 발표를 화려하게 잘 해야만 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잖아.
② 나는 내향적인 성격보다 외향적인 성격이 더 좋다고 생각해 왔는데, 이 글을 읽으니 지은이의 생각도 일리가 있는 것 같아.
③ 나는 그 동안 인기가 많은 친구들이 부러웠는데, 이제는 겉으로 화려한 생활보다 내실 있는 진정한 삶을 살고 싶어.
④ 지은이는 내향적인 성격이 더 좋다고 말하고 있지만, 어떤 성격이든 자기 성격의 장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⑤ 난 외향적이지만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는데 외향적인 사람이 노력하지 않는다는 지은이의 생각은 너무 개인적이고 주관적이지 않을까?
3. 다음 중, 칼럼을 읽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근거의 타당성, 객관성 등을 비판 없이 읽는다.
② 문단의 핵심이나 핵심 구절을 파악하며 읽는다.
③ 논지의 전개 과정에 비약이 없는지 판단하며 읽는다.
④ 지시어와 접속어를 통해 문장이나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읽는다.
⑤ 각 내용 문단의 중심 문장을 파악하고, 글 전체의 주제와 연관성을 파악하며 읽는다.
4. 상담 학생에 대해 잘못 파악한 것은?
① 좋은 대학을 졸업했다.
② 교수 요원으로 추천을 받았다.
③ 자신의 능력 이상을 발휘해 왔다.
④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할 자신이 없다.
⑤ 자신의 소심한 성격 때문에 자신을 미워하고 있다.
5. 이 글을 통해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① 외향적 성격은 단점이 많은 성격이다.
② 내향적 성격이 외향적인 성격보다 더 실용적이다.
③ 현대 사회에는 화려한 외향적 성격이 더 어울린다.
④ 외향적 성격이 내향적인 성격보다 더 좋은 성격이다.
⑤ 타고난 성격보다 꾸준히 노력하는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다.
6. 다음 보기의 밑줄 친 말이 의미하는 것은?
보기 : ‘’자네의 그 성격은 자네에게 원수가 아니라 은인일세“
( ) ( )
정 답
1
2
3
4
5
6
④
①
①
③
⑤
내향적 성격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
저는 남학생입니다. 성격이 내성적이라 고민이 많이 됩니다. 외향적인 성격의 친구들이 부럽습니다. 앞으로 사회생활을 잘해 나갈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사는 것이 힘들다고 느껴집니다.
* * * 올림
사람의 성격은 타고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성격을 바꿀 수가 없다고 합니다. 특히 내성적, 외향적인 성격은 요. 내성적인 성격이란 자기의 정신 에너지가 자기 내부로 향하는 성격입니다. 그래서 내성적인 사람은 내적인 일, 예를 들어 글을 쓴다거나 공상을 한다거나 혼자 골머리 앓는 등에는 아주 뛰어난 힘을 발휘하지만 개인 관계나 집단에의 적응 등에는 아주 미숙합니다. 그래서 사회에 적응을 해야 하는 청소년기 때 내성적인 사람은 무진 마음고생을 합니다. 세상이 다 자기 같지 않기 때문이죠. 그러나 그렇다고 그 고생이 평생을 가는 것은 아닙니다. 기반도 어느 정도 잡히고 나이도 들어 굳이 세상에 아득바득 적응하지 않아도 될 때는 내성적인 사람이 훨씬 유리합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사회에서 자기를 확인하려고 아등바등하지만 내성적인 사람은 조용히 내면을 들여다보면서 고고하게 지내기 때문이죠.
그래서 인생의 전반기에는 외향적인 사람이, 후반기에는 내성적인 사람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내성적인 사람이 인생의 전반기에 항상 죽어지내라는 법은 없습니다. 내성적인 사람은 그렇게 많은 친구나 인간관계가 필요한 것이 아니니까 욕심만 내지 않는다면 또 잘 나가는 외향적인 사람들을 부러워하지만 않는다면 나름대로 적응할 수 있는 길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는 자기 같이 내성적인 애를 한두 명 사귀고 나머지는 혼자 줄길 수 있는 일,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이나 영화, 만화, 소설 등의 세계에 깊이 빠지는 거죠.
내성적인 사람은 외적 적응력은 떨어지는 반면에 감성적인 면에서는 아주 풍부하니까 그런 자기만의 놀이 등을 아주 인상 깊게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세월을 가다보면 차츰 자기와 맞는 친구도 하나 둘 생겨 편해질 수가 있는 거죠. 저 또한 내성적이라 청소년기 때는 참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남들이 적응하고 대인 관계를 맺는 것에 비해 너무 미숙했기 때문이죠.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혼자서 지내는 습성은 저를 아주 편하게 해줍니다. 제 학교 성적을 봐도 초반에는 헤매다가 마지막에 가서야 조금씩 좋아지곤 하는 것을 발견하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저희 집 가훈을 '대기만성'이라고 정했습니다. 성격은 대개 유전이 되니 내성적인 우리 아이들이 처음부터 남들같이 빠릿빠릿하지 못하다고 너무 주눅 들지 않게 말이죠.
귀하도 지금은 지옥 같은 고통을 받고 있지만 너무 잘 적응하는 남들만 부러워하지만 말고 자기대로 적응하는 방식을 발견하다 보면 길이 있고 또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래도 쓸만한게 있을 겁니다. 사람은 죽으란 법이 없고 또 내성적인 사람은 내성적인 대로 이 삶에서 자기 역할을 할 수 있게 운명지어지고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수십억 년 생명의 진화에서도 살아남은 것이 아닐까요.
김정일 / 김정일 정신과 원장
‘축복받은 성격’과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은 둘 다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 전문가인 글쓴이의 조언을 듣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갈래상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축복받은 성격’은 수필이면서 칼럼으로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글쓴이의 생각을 불특성 다수의 신문독자가 공감할 수 있게 보편적인 생각으로 확장하여 쓴 글이다. 그러나 ‘내성적인 성격이 고민’은 편지로서 특정한 상대에게 전하고 싶은 자신의 생각을 언어 예절과 구어체로서 주고 받는 사람 모두 심리적으로 김밀한 유대감이 형성되는 실용적이고 사교성이 강한 글이다.
3. 형성평가
1. 이와 같은 글을 읽는 방법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하게 읽는다.
② 글의 마지막 부분을 주의 깊게 읽는다.
③ 내용에 대한 궁금점을 적어 가며 읽는다.
④ 글쓴이의 주장을 정리하면서 무조건 이해한다.
⑤ 글의 제목과 대화 내용을 통해 글의 내용을 짐작한다.
2. 이 글을 읽고 난 후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아무리 능력이 있으면 뭐 해.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으려면 역시 발표를 화려하게 잘 해야만 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잖아.
② 나는 내향적인 성격보다 외향적인 성격이 더 좋다고 생각해 왔는데, 이 글을 읽으니 지은이의 생각도 일리가 있는 것 같아.
③ 나는 그 동안 인기가 많은 친구들이 부러웠는데, 이제는 겉으로 화려한 생활보다 내실 있는 진정한 삶을 살고 싶어.
④ 지은이는 내향적인 성격이 더 좋다고 말하고 있지만, 어떤 성격이든 자기 성격의 장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⑤ 난 외향적이지만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는데 외향적인 사람이 노력하지 않는다는 지은이의 생각은 너무 개인적이고 주관적이지 않을까?
3. 다음 중, 칼럼을 읽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근거의 타당성, 객관성 등을 비판 없이 읽는다.
② 문단의 핵심이나 핵심 구절을 파악하며 읽는다.
③ 논지의 전개 과정에 비약이 없는지 판단하며 읽는다.
④ 지시어와 접속어를 통해 문장이나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읽는다.
⑤ 각 내용 문단의 중심 문장을 파악하고, 글 전체의 주제와 연관성을 파악하며 읽는다.
4. 상담 학생에 대해 잘못 파악한 것은?
① 좋은 대학을 졸업했다.
② 교수 요원으로 추천을 받았다.
③ 자신의 능력 이상을 발휘해 왔다.
④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할 자신이 없다.
⑤ 자신의 소심한 성격 때문에 자신을 미워하고 있다.
5. 이 글을 통해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① 외향적 성격은 단점이 많은 성격이다.
② 내향적 성격이 외향적인 성격보다 더 실용적이다.
③ 현대 사회에는 화려한 외향적 성격이 더 어울린다.
④ 외향적 성격이 내향적인 성격보다 더 좋은 성격이다.
⑤ 타고난 성격보다 꾸준히 노력하는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다.
6. 다음 보기의 밑줄 친 말이 의미하는 것은?
보기 : ‘’자네의 그 성격은 자네에게 원수가 아니라 은인일세“
( ) ( )
정 답
1
2
3
4
5
6
④
①
①
③
⑤
내향적 성격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학 수업 지도안 - 단원의 지도계획, 소단원 지도계획, 본시 교수학습의 실제
[초등영어]초등학교영어교육의 개념, 초등학교영어교육의 필요성, 초등학교영어교육의 성격, ...
한림별곡 연구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컴퓨터교육]컴퓨터교과(컴퓨터교육)의 교육의미와 성격, 중학교(중등) 컴퓨터교과(컴퓨터교...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성격과 중점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환경조성과 교...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학습) 이론적 기초와 역사적 배경,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학...
과학과(과학교육) 교육과정 개정방향과 개정중점, 과학과(과학교육)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
초등학교 체육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체육과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초등학교 체...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성격과 목적,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실태와 내용선정, 음악과(음악과교...
고등학교1학년 국어교과 봉산탈춤 수업계획 [학습지도안][교수목표][교수분석][학습자 분석][...
[모형 적용 수업지도안, 수업계획서, 학습계획서] 과학 6학년 / 3.대단원 : 3.쾌적한 환경 / ...
평생교육방법론-가상의 학습자, 기관, 학습 주제 등을 설정하고 이에 알맞은 교수방법과 매체...
컴퓨터과 교수 학습 지도안(고교 2학년) - 단원설정교수학습 모형 수업 지도안 본 내용평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