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위치 발굴 및 복원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화위치 발굴 및 복원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솔린으로 작동을 하는 전기톱, 체인톱 등은 현장 오염방지를 위해서 연료를 주입을 할 때에는 건물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6. 바닥세척
1) 발굴로 인해서 잔해가 제거가 되고 검사를 위한 시료가 채취가 되어 현장조사가 완료가 된 후에는 바닥이나 표면을 물로 세척을 하여 남겨진 화재패턴을 확인해보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2) 바닥을 물로 세척을 할 경우에 주의를 할 점은 바닥면에 남겨진 증거가 손상되지 않도록 고압의 직사주수나 봉상주수의 사용은 피하도록 하여야 한다.
7. 복원
1) 복원을 위해서 발굴로서 확보를 한 모든 물건은 발견이 된 위치, 상태 및 방향이 기록되어야 한다.
2) 화재진압 또는 잔화 정리 과정 속에서 물건이 옮겨진 경우에는 복원이 곤란해질 수가 있다. 현장분석 및 관계자 확인으로도 확실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능한 모든 방법에 대해서 고려를 하여야 하며, 불명확한 것은 복원하지 않아야 한다.
8.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8.26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