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사 전문성에 대한 접근들
2. 조화와 균형의 원리
3. 효율성과 혁신간의 조화와 균형: 적응적 전문성
1) 효율성(efficiency)
2) 혁신(innovation)
3)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4)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OAC)
2. 조화와 균형의 원리
3. 효율성과 혁신간의 조화와 균형: 적응적 전문성
1) 효율성(efficiency)
2) 혁신(innovation)
3)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4)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OAC)
본문내용
, 혁신 없는 발전이 있을 수 없듯 혁신은 개인이나 집단이 일상에 정체되는 것을 막고, 계속적인 학습과 발전의 필수 요소가 된다. 어떤 교사가 전문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혁신에 가치를 둔다면 이 때 교사가 주로 하게 되는 반성은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적 반성이나 비판적 반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3)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전문가와 초심자들의 차이에 대한 연구들에서 전문가들이 초심자들보다 새로운 상황에서 훨씬 유연하다는 것이 보고되자(Bransford, 1979, Miller, 1978; Simon, 1980), Hatano와 그의 동료들은(1986) 이를 ‘적응적 전문성’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이 후 ‘적응적 전문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어 교수-학습은 물론 교사 교육 영역의 교사 전문성에도 적용되고 있다(e.g., Bransford 외, 2005; Hatano & Oura, 2003; Oura & Hatano, 2001; Schwartz & Martin, 2004; Schwartz, Bransford, & Sears, 2005). 이들은 진정한 의미의 전문가는 문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함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시도하려는 혁신적 능력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적응적 전문성을 효율성과 혁신간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으로 설명한다. Hatano와 그의 동료들은(1986, 2003) 효율적이고도 능숙하게 문제 해결하는 것만을 강조한다면 어느 순간 그(녀)를 더 이상 전문가라 할 수 없다고 하고, 이것을 ‘일상적 전문가(routine expert)'와 구분하였다.
4)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OAC)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이하 OAC)'이란 효율성과 혁신을 모두 고려하는 소위 효율성과 혁신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2차원 구조도에서 기울기 1의 값을 갖는 일정 영역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응적 전문성이 ‘효율성과 혁신간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으로 설명될 때, OAC는 전문성 신장을 설명하거나 의도하기 위한 판단적 근거나 안내적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효율성과 혁신가의 적절한 균형과 조화’에서 ‘적절한’은 판단 기준에 있어 상황적 특징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Crawford, Schlager, Toyama, Reil, & Vahey, 2005). 즉, 진취적이고 혁신적 성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OAC는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 영역으로 제시될 것이고, 다소 보수적이고 효율적 성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OAC는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영역으로 제시될 것이다. 비록 상황적 특징에 따라 OAC 영역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도 OAC를 기준으로 효율성과 혁신간에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가는 모습을 분석하는 것은 개인의 전문성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Martin & Schwartz, 2004; NRC, 2000).
3)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전문가와 초심자들의 차이에 대한 연구들에서 전문가들이 초심자들보다 새로운 상황에서 훨씬 유연하다는 것이 보고되자(Bransford, 1979, Miller, 1978; Simon, 1980), Hatano와 그의 동료들은(1986) 이를 ‘적응적 전문성’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이 후 ‘적응적 전문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어 교수-학습은 물론 교사 교육 영역의 교사 전문성에도 적용되고 있다(e.g., Bransford 외, 2005; Hatano & Oura, 2003; Oura & Hatano, 2001; Schwartz & Martin, 2004; Schwartz, Bransford, & Sears, 2005). 이들은 진정한 의미의 전문가는 문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함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시도하려는 혁신적 능력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적응적 전문성을 효율성과 혁신간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으로 설명한다. Hatano와 그의 동료들은(1986, 2003) 효율적이고도 능숙하게 문제 해결하는 것만을 강조한다면 어느 순간 그(녀)를 더 이상 전문가라 할 수 없다고 하고, 이것을 ‘일상적 전문가(routine expert)'와 구분하였다.
4)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OAC)
‘최적의 전문성 영역(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이하 OAC)'이란 효율성과 혁신을 모두 고려하는 소위 효율성과 혁신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2차원 구조도에서 기울기 1의 값을 갖는 일정 영역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응적 전문성이 ‘효율성과 혁신간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으로 설명될 때, OAC는 전문성 신장을 설명하거나 의도하기 위한 판단적 근거나 안내적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효율성과 혁신가의 적절한 균형과 조화’에서 ‘적절한’은 판단 기준에 있어 상황적 특징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Crawford, Schlager, Toyama, Reil, & Vahey, 2005). 즉, 진취적이고 혁신적 성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OAC는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 영역으로 제시될 것이고, 다소 보수적이고 효율적 성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OAC는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영역으로 제시될 것이다. 비록 상황적 특징에 따라 OAC 영역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도 OAC를 기준으로 효율성과 혁신간에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가는 모습을 분석하는 것은 개인의 전문성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Martin & Schwartz, 2004; NRC, 2000).
추천자료
교사평가제에 대한 찬반논의 모의 토론
교육활동을 통해본 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사문화에 대한 질적연구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교사의 역할과 자질, 자기 개발 등에 대한 조사
[여교사][여성교사][여성교원]여교사(여성교원)의 특성, 여교사(여성교원)와 성차별, 여교사(...
[보육학개론]바람직한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하여 - 바람직한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보육교사(保育敎師)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바람직한 보육교사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제...
[보육학개론] 보육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과 내용 (보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 영유아의...
유아의 애착(Attachment)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애착 이론, 유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교...
(보육교사의 자질) 보육교사의 자질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기술하시오
현 예비 교육교사로서 우리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보육교사와 관련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예...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제시된 과학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과학에 대한 교사의...
유보 통합이란 무엇인지, 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들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가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