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집의 역사적 정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집의 역사적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를 구성하였으며, 문은 삼분합의 들어 열개문으로 되어 있다. 막돌 허튼 층의 낮은 기단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방주를 세웠으며, 주두와 소로, 장혀, 굴도리로 결구된 평5량 가구이다. 천장은 연등천장과 우물천장을 혼합하였는데 서까래가 모이는 부분은 눈썹천장으로 되어 있다. 처마는 홑처마이며, 서까래는 선자서까래이다.
③대봉대
사방 1칸의 초가지붕으로 되어 있는 현재의 초정 대봉대는 1985년경에 재건된 것이다. 소쇄원 입구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이 소정은 시원한 벽오동나무의 그늘에 앉아 봉황새(귀한 손님)를 기다리는 집이다. 「소쇄원48영」의 주요한 시점의 하나로 여기에서면 소쇄원의 모든 정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대봉대는 귀한 손님을 맞기 위해 대를 쌓고 정자(소정)를 지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좋은 소식을 전해준다는 ‘봉황새를 기다리는 동대桐臺’라는 뜻이 함축되어 있다. 그래서 그 곁에는 봉황새가 둥지를 틀고 산다는 벽오동나무와 열매를 먹이로 한다는 대나무를 심었다. 또한 입구 쪽으로는 상지와 하지가 있고 바람을 막기 위해 애양단이 바로 앞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쇄원48영」중 많은 구절이 적용되는 장소 가운데 한 곳이며, 제 37영 ’동대하음桐臺夏陰’에서 동대 주변의 분위기를 노래하였다. 이러한 주변의 상황으로 보아 ‘동대’란 대봉대를 가리킨다. 이 대봉대의 넓이는 4m×2.5m이다. 현재 대봉대의 초정 옆에 심어진 오동나무는「소쇄원도」에 근거해서 15대손 양재영씨가 최근에 심어 가꾸고 있다.
④고암정사
고암정사는「소쇄원도」에만 그려져 있을 뿐 현존하지 않는 건물이다.
내원에서 담으로 구획된 영역의 바깥쪽에 있는 정면 3칸의 건물로서 담으로 구획된 영역의 바깥쪽에 있는 정면 3칸의 건물로서 건물 이름으로 보아 양산보의 아들인 고암공敲岩公 양자징이 세운 것 이라 생각된다. 48영에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소쇄원 조영초기에는 없었고, 양자징이 거창현감을 제수받은 1570년경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쇄원도」에 의하면 정면 3칸 중 제일 왼쪽 칸은 문이 표현되어 있어 방이라 생각된다.
「소쇄원도」에 나타난 건물들의 지붕 모습이 우진각지붕처럼 표현되어 있으나 고암정사의 지붕은 짧게 표현되어 이채롭다. 이는 좌측 칸이 ㄱ자로 꺽인 지붕을 표현하면서 미숙하게 그린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도 가능하다. 기단에는 좌 / 우측 칸 앞에 계단이 있다. 이들 계단 중에서 동측 계단은 주인이, 그리고 서측 계단은 손님이 오르내리는 계단으로 일반적으로는 서측 계단의 위상이 높았다고 한다.
⑤부훤당
「소쇄원도」에만 있을 뿐 현존하지 않는 건물이다.
고암정사와 나란히 한단 낮은 위치에 인접해 있으며 정면 3칸이다. 창이나 문을 표현한 모습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기단에는 좌우측의 양쪽 칸 앞에 계단을 놓았다. 「소쇄원도」에 나타난 바로는 제월당 보다는 작고 광풍각 정도의 크기로 그려져 있다. 부훤의 뜻이 효를 상징하므로 애양단처럼 부모에 대한 따듯한 정감을 표현한 것 같다.
48영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소쇄원 조영 초기에는 없었을 것이며, 송순과 고경명이 ‘부훤당 주인 자징’을 만나는 기록이 1574년에 나타나므로 양자징이 1570년경에 건립한 것이라 추정된다.
2)석파정
석파정(石坡亭)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정자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제국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별장으로 사용하였다. 이 정자의 이름의 유래는 정자 앞의 산이 모두 바위여서 흥선대원군이 석파(石坡)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1974년 1월 15일에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 되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