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과는 설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수 설계개발 체제의 어떠한 부분이 잘 되었고 어떠한 부분이 수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ⅵ) 수업 전략 수립(Develop an Instructional Strategy)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치밀하게 계획하는 과정이다. 학습의 전달방법과 전달 매체를 결정하고 특히 제시되어야 할 학습 사태를 결정하는 것은 이 단계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대상 학습자의 집단구성(대집단, 소집단 또는 개인), 즉, 언제 어떠한 인원 구성의 학습자들이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이러한 계획이 일단 세워지면 분석된 과제 및 학습자 특성과 설정된 교수목표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수 전략(instructional strategy)을 개발한다.
ⅶ) 수업 자료개발 및 선정(Develop or Select Instructional Materials)
앞서 고안한 교수 전략에 따라서 요구되는 교수 사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교수 자료를 제작하거나 기존의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교수 자료란 매뉴얼, 평가자료, 교사 지침서 등을 포함한다.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교수학습전략을 이용하는데, 이미 개발되어진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자료 선정 기준을 만들어 앞서 설정된 학습목표, 학습자 특성, 과제분석 등에 알맞은 자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만약 이미 개발되어 선택 가능한 자료가 없다면, 보충 자료를 개발하거나 있는 자료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새로운 자료를 개발할 때는 대상 학습 유형, 이미 개발된 자료의 사용 가능성, 개발을 위한 자원의 이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ⅷ) 형성 평가 설계 및 실행(Design and Conduct Formative Evaluation)
교수 프로그램의 초고가 완성되고 나면, 질의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일련의 평가가 실시된다. 학습자 개인별 평가 (one-to-one evaluation) 소집단 평가(small-group evaluation), 현장 평가 (field evaluation)와 같은 유형의 평가가 실시되어 설계한 교수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ⅵ) 수업 전략 수립(Develop an Instructional Strategy)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치밀하게 계획하는 과정이다. 학습의 전달방법과 전달 매체를 결정하고 특히 제시되어야 할 학습 사태를 결정하는 것은 이 단계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대상 학습자의 집단구성(대집단, 소집단 또는 개인), 즉, 언제 어떠한 인원 구성의 학습자들이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이러한 계획이 일단 세워지면 분석된 과제 및 학습자 특성과 설정된 교수목표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수 전략(instructional strategy)을 개발한다.
ⅶ) 수업 자료개발 및 선정(Develop or Select Instructional Materials)
앞서 고안한 교수 전략에 따라서 요구되는 교수 사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교수 자료를 제작하거나 기존의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교수 자료란 매뉴얼, 평가자료, 교사 지침서 등을 포함한다.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교수학습전략을 이용하는데, 이미 개발되어진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자료 선정 기준을 만들어 앞서 설정된 학습목표, 학습자 특성, 과제분석 등에 알맞은 자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만약 이미 개발되어 선택 가능한 자료가 없다면, 보충 자료를 개발하거나 있는 자료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새로운 자료를 개발할 때는 대상 학습 유형, 이미 개발된 자료의 사용 가능성, 개발을 위한 자원의 이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ⅷ) 형성 평가 설계 및 실행(Design and Conduct Formative Evaluation)
교수 프로그램의 초고가 완성되고 나면, 질의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일련의 평가가 실시된다. 학습자 개인별 평가 (one-to-one evaluation) 소집단 평가(small-group evaluation), 현장 평가 (field evaluation)와 같은 유형의 평가가 실시되어 설계한 교수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윤리의 경제학적 접근
교육공학
켐프모형
시뮬레이션 학습
교수설계의 모형과 절차
ISD(수업체제설계, 교수체제개발)의 정의, ISD(수업체제설계, 교수체제개발)의 문화적 이해, ...
[ISD]ISD(수업체제설계, 교수체제개발)의 목적, ISD(수업체제설계, 교수체제개발)의 모델과 ...
교육공학)교육공학정의와 발달
교수체제개발(ISD, 교수체제설계) 개념, 교수체제개발(ISD, 교수체제설계) 분류, 교수체제개...
ISD(교수체제개발, 교수체제설계) 의의와 특성, ISD(교수체제개발, 교수체제설계) 이론적 토...
[교수설계][행동주의][구성주의][교수]교수설계의 의미, 교수설계의 재개념화, 교수설계의 행...
디지털시대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현대 국악의 이해 “국악이 따분하다고 하였는가?” 교수체제개발 모형...
(ADDIE 모형)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기업에서 개발된 영유아 프로그램에 대해 분석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