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특히 질적 연구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관찰한 그 현상에 대한 총체적인 설명에 기본적인 관심을 두고, 동시에 자신의 연구가 행해진 범위를 넘어서서 어떠한 맥락에까지 연구결과가 적용될 수 있는지의 파악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마지막으로 양적 연구는 개념의 내용을 계량화하고 계량화된 측정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반면에,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을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 그리고 사고의 결과를 글로써 표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근거이론에서 이론적 민감성으로 지칭되는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은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고, 또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반영하는 글쓰기 능력은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탄력과 생명력을 불어넣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유태균 역, 2001). 따라서 최근에는 개념화하고 글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국문학자나 언어학자에게 검토를 요청하는 것이 요구되는 정도로 질적 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과 사고의 결과를 글로 생생하게 나타내는 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즉 양적 연구에서는 계량화된 결과에 대한 해석 기술이 보다 많이 요구되나,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에서 관찰된 그리고 공유된 내용을 생생하게 정리하고 나타내는 글쓰기 능력이 보다 많이 요구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홍경준. 2002. “한국 사회복지학계 연구방법론의 동향”.
비판사회학회 2002년 학술대회 자료집. pp. 1-14
홍경준. 1998. “한국사회복지학 연구방법의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199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31-53.
마지막으로 양적 연구는 개념의 내용을 계량화하고 계량화된 측정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반면에,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을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 그리고 사고의 결과를 글로써 표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근거이론에서 이론적 민감성으로 지칭되는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은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고, 또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반영하는 글쓰기 능력은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탄력과 생명력을 불어넣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유태균 역, 2001). 따라서 최근에는 개념화하고 글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국문학자나 언어학자에게 검토를 요청하는 것이 요구되는 정도로 질적 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과 사고의 결과를 글로 생생하게 나타내는 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즉 양적 연구에서는 계량화된 결과에 대한 해석 기술이 보다 많이 요구되나,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에서 관찰된 그리고 공유된 내용을 생생하게 정리하고 나타내는 글쓰기 능력이 보다 많이 요구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홍경준. 2002. “한국 사회복지학계 연구방법론의 동향”.
비판사회학회 2002년 학술대회 자료집. pp. 1-14
홍경준. 1998. “한국사회복지학 연구방법의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199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31-5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