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규의 「수상한 식모들」 - 표층적 분석,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진규의 「수상한 식모들」 - 표층적 분석,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박진규의 「수상한 식모들」


1. 지은이 박진규

2. 표층적 분석

3. 심층 분석
3.1 수상한 식모들 속 <호녀신화>
3.2 <수상한 식모>들을 통한 ‘호랑이 여인의 재창조의 의미
3.3 <수상한 식모들> 속의 식모
3.3 변신 곰인형 프로젝트

4. <수상한 식모들>의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

5. 초점화

본문내용

소장
(보조자)

경호
(주 체)

정아, 수사관, 엄마
(반대자)
「수상한 식모」는 수상한 식모에 관해 대필하는 경호와 마지막 수상한 식모인 순애와의 사이에서 교류되어지는 수상한 식모들의 역사를 통해 전개된다. 따라서 이를 행위자 모델로 도식해 보면 위와 같다.
순애는 경호를 통해 수상한 식모들의 역사를 기록되기를 원한다. 이에 경호는 순애와 인력센터의 소장의 도움으로 호랑아낙부터 수상한 식모들에 이르는 그녀들의 역사를 기록하게 된다. 꿈을 갉는 쥐를 통하여 이미지를 전송 받으면 자신이 본 환상을 순애 대신 대필한 것이다.
정아는 처음에 호랑 아낙에 관해 관심을 보여 경호에게 접근하나 그녀가 믿고 있던 호랑 아낙에 관한 역사와 경호의 이야기가 다르자 곧 반대자의 입장을 취해 경호로 하여금 가상의 이야기를 말하게 한다. 이로 하여금 경호는 호랑 아낙들의 노여움을 사게 되자 정아에게 거짓을 말하는 것을 포기하고 정아와의 이별을 택한다. 엄마는 어린시절 자신이 봤던 수상한 식모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힘들게 꾸려온 자신의 가정이 깨질까 두려워하고 순애의 존재를 눈치 챔에 따라 그녀를 내쫓는다. 그녀는 일평생 수상한 식모에 대한 두려움으로 떨게 되고 순애와 경호와의 만남을 알았을 때는 격하게 반응한다. 그러나 이후 자신의 가정의 위태로움을 인정하고 순애와의 암묵적인 화해를 하게 된다.
5. 초점화
<수상한 식모들>의 서술자는 작품 내부에 있다. <수상한 식모들>이 이중 구조를 통하여 주인공 경호의 전반적인 생활 양상이나 가족들의 모습을 이야기 할 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을 택하고, ‘강순애’를 통해 알게 된 ‘지씨, 김수영, 김염옥, 최씨’ 등 ‘수상한 식모들’의 이야기는 1인칭 관찰자 시점 또는 전지적 작가 시점인, 가변적 초점화의 기법을 사용한다.
서술자가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서술자와 초점화자의 거리는 매우 좁으며 따라서 주인공의 심리까지도 면밀히 살펴 볼 수 있다. 그러나 순애를 통해 알게 된 재구성된 이야기는 1인칭 관찰자 시점임과 동시에 전지적 작가 시점이 될 수 있다. 순애가 수상한 식모가 되기 까지 과정에서는 경호 자신의 모습이 서술되어 지나, 그 이후 김염옥의 일생이나 점래 이야기에서는 1인칭의 면모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서술자가 외부에 존재하는 듯한 느낌을 독자에게 준다. 이것은 순애의 이야기를 경호가 대필하는 형식을 취한 이 소설의 구성상의 특지에서 비롯된 모호함이라 할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08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8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