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쿠즈네츠의 발견
Ⅲ. 프리드만의 가설
Ⅳ. 안도, 모딜라이니 가설
Ⅴ. 듀젠베리의 가설
Ⅵ. 결론
Ⅱ. 쿠즈네츠의 발견
Ⅲ. 프리드만의 가설
Ⅳ. 안도, 모딜라이니 가설
Ⅴ. 듀젠베리의 가설
Ⅵ. 결론
본문내용
으로 나누면 소비는 이 두 소득의 선형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19-34) C = aA + bW
<그림 19-16>에서 OE 이 자산을 표시하고 단기소비함수 SRC 의 기울기가 노동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을 표시한다면 장기적으로 자산은 증가한다. 만약 노동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일정하다면 자산이 증가함에 EK라 단기소비함수는 SRC , SRC 로 이동한다. 장기에 노동소득과 자산소득이 총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다고 가정하면 이들 단기소비함수로부터 그림에서와 같이 원점을 지나는 장기소비함수 LRC를 얻는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APC=MPC임을 보일 수 있다.
생애주기가설은 소비의 결정요인으로서 단기소득개념이 아닌 장기소득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항상소득가설과 맥락을 같이한다. 생애주기가설에 따르면 소비가 당기소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기적인 재정정책, 특히 세율의 변화는 소비와 총수요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Ⅴ. 듀젠베리의 가설
미국의 경제학자 듀젠베리는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소비자 본인의 현재소득은 물론 비교대상이 되는 타인의 소득과 본인의 과거소득을 중요시하였다. 소비와 타인의 소득과의 관계는 소비행동의
(19-34) C = aA + bW
<그림 19-16>에서 OE 이 자산을 표시하고 단기소비함수 SRC 의 기울기가 노동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을 표시한다면 장기적으로 자산은 증가한다. 만약 노동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일정하다면 자산이 증가함에 EK라 단기소비함수는 SRC , SRC 로 이동한다. 장기에 노동소득과 자산소득이 총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다고 가정하면 이들 단기소비함수로부터 그림에서와 같이 원점을 지나는 장기소비함수 LRC를 얻는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APC=MPC임을 보일 수 있다.
생애주기가설은 소비의 결정요인으로서 단기소득개념이 아닌 장기소득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항상소득가설과 맥락을 같이한다. 생애주기가설에 따르면 소비가 당기소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기적인 재정정책, 특히 세율의 변화는 소비와 총수요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Ⅴ. 듀젠베리의 가설
미국의 경제학자 듀젠베리는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소비자 본인의 현재소득은 물론 비교대상이 되는 타인의 소득과 본인의 과거소득을 중요시하였다. 소비와 타인의 소득과의 관계는 소비행동의
추천자료
스포츠제품 구매에 따른 소비자 성향 분석 ( 마케팅 )
진입순서와 사업성과 : 제품차별화, 소비자인지 및 비용 우위의 매개적..
빈폴마케팅 전략과 브랜드 이미지/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발표
미래의 광고매체 변화에 따른 소비자행태 변화 연구 조사
치즈의 종류와 생산과 소비시장에 관한 고찰
저출산 현상에 따른 가계의 소비성향변화분석
[마케팅] 소비자 행동 분석
이종격투기(PRIDE)에 대한 소비자 마케팅 전략 분석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소비자행동연구(A+레포트)
자기개념 분석을 통한 소비자심리 이해
광고산업 발달에 따른 광고와 소비자와의 관계
[독후감] <소비의 심리학>을 읽고
인터넷 환경과 온라인 오프라인 소비자마케팅 비교분석
[에너지와 환경] 에너지 소비에 따른 환경의 영향과 대책, 에너지 정책, 에너지 절약에 대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