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웨덴의 공공부문 노사협의제도의 내용
1. 공동결정제도의 기원과 발전
2. 공동결정제도의 구성방식 및 운영현황
3. 공동결정제도의 권한
1. 공동결정제도의 기원과 발전
2. 공동결정제도의 구성방식 및 운영현황
3. 공동결정제도의 권한
본문내용
법조문의 해석과 관련한 결정에서 사용자의 반대제소가 노동법원의 인정을 받기 전까지는 노조의 해석이 우선권을 갖는다. 공동결정사항 및 취업의무사항에 관한 모든 규칙의 해석은 노조측의 해석에 따른다. 단체 협약중의 임금보수조항에 있어서 분쟁이 생기면 사용자는 교섭에 의하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10일 이내에 노동재판소에 제소하게 된다. 거부권은 사용자가 고용안정, 작업환경, 공휴일과 그 밖의 사회적 수혜사항을 위반할 때, 그리고 사용자가 프리랜서나 임시계약직 노동자 등 비정규노동자를 사용하려 할 때 노조는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산업 혹은 직업에 관한 일반적 관행과 불일치하는(탈세를 하고, 통상임금율을 무시하고, 작업보호법규를 지키지 않는) 개별협약유사협정에 노조는 거부하여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시장화와 개방화 저지의 사회공공성 쟁취투쟁의 의미와 가능성
한국 공공보건의료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정책적 과제
[공공보건의료]공공보건의료의 성격, 공공보건의료의 현실, 공공보건의료의 문제점과 공공보...
[신공공관리론][신공공관리론적 개혁방법 비판]신공공관리론 등장배경, 신공공관리론 특징, ...
[의료공공성]의료(보건의료)의 공공성, 의료공공성(보건의료공공성)의 정의, 의료공공성(보건...
[공공성][보건의료][중소병원][건축][국가기간산업][보육][사립대학]공공성 정의, 공공성 주...
[공공의료][공공보건의료]공공의료(공공보건의료)의 특징, 공공의료(공공보건의료)의 역할과 ...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개인정보]개인정보의 특질 고찰과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
공공연맹(공공전국노동조합연맹) 조직구성, 공공연맹(공공전국노동조합연맹) 통합과정, 공공...
[공공개혁 비전][공공개혁 비전 이념][공공개혁 비전 여건][공공개혁 비전 목표][공공개혁 비...
[비정규직 해결방안] 공공기관 비 정규직 전환 - 비정규직 정의, 문제점, 사례, 해결방안.PPT...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전자정부시대 프라이버시]
[우리나라 대학의 공공재] 북유럽의 선진교육국가의 모습을 통한 방향 제시 - 우리나라 대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