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화계획이란
2. 비율강화
3. 간격강화
4. 강화계획과 학습 사이의 관계
5. 강화물 선택의 적합성
6. 강화의 즉시성
2. 비율강화
3. 간격강화
4. 강화계획과 학습 사이의 관계
5. 강화물 선택의 적합성
6. 강화의 즉시성
본문내용
행동을 보였을 때 즉각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강화물을 제시하는 시점과 바람직한 행동이 발생한 시점 간의 시간상 간격이 멀어질수록 학습자는 자신의 행동과 강화물 간의 수반성을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이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교사가 사탕(강화물)을 이틀 뒤에 준다면, 학생에게 제대로 된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행동주의 학자인 스키너 또한 상자 안의 쥐에게 버튼 누르기를 학습시킬 때, 비록 아주 작은 강화물이라 하더라도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강화물을 제시하는 것이 나중에 몰아서 커다란 강화물을 한 번에 제시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물론, 월말, 학기말에 제공되는 상장, 시험과 같은 커다란 강화물 또한 필요하지만 학습의 경우 즉각적으로 제시되는 교사의 칭찬이나 관심은 강력하고 유용한 강화물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교사는 인지하여야 한다.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교사의 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피드백은 세부적이고 즉각적이어야 하며 교정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또한 강화의 즉시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