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 농구의 역사
❒ 농구의 용어
❒ 경기의 규칙
❒ 선수의 포지션
❒ 코트 & 시설의 규격
❒ 슛의 종류
❒ 한국 농구 변천과 규정의 변화
❒ 프로 농구의 팀의 구성
❒ 농구의 용어
❒ 경기의 규칙
❒ 선수의 포지션
❒ 코트 & 시설의 규격
❒ 슛의 종류
❒ 한국 농구 변천과 규정의 변화
❒ 프로 농구의 팀의 구성
본문내용
전(1,2쿼터)과, 후반전(3,4쿼터) 사이에는 12분의 휴식시간이 허용된다.
4. 1, 2 쿼터 사이와 3, 4 쿼터 사이에는 각각 120초의 휴식시간이 허용되며, 4 쿼터와 연장 쿼터 사이에도 120초가 허용된다. 정규 작전타임에는 90초가 허용된다.
5. 퇴장 당한 선수를 교체하는 데에는 30초가 허용된다.
6. 매 쿼터 또는 연장 쿼터에서 경기시간 계시기상에 2분 또는 그 이하가 남아있을 때에는 쿼터종료/경기종료 2분전 상황으로 간주하며, 장내 아나운서는 이를 방송해야 한다.
부상당한 선수가 즉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거나(약15초) 만일 치료를 받는다면 1분 이내에 가급적 신속하게 교체하여야 한다.
7. 경기시간 계시기는 정규 또는 연장 쿼터의 마지막 1분 동안은 10분의 1초까지 나타낼 수 있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8. 선수가 드로우 인 된 볼을 즉각 코트 밖으로 쳐내거나, 드로우 인 된 패스를 받는 즉시 야투를 시도하거나, 또는 자유투가 시도되어 실패된 볼을 잡는 순간 작전타임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최소한 0.3초의 경기시간이 지나간 것으로 본다.
- 동점 - 연장전
쿼터 종료 시 스코어가 동점인 경우 120초 이내에 경기는 공격 바스켓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 쿼터로 재개된다.
- 20초 작전타임 -
선수의 20초 작전타임 요청은 데드볼 상태이거나 요청하는 팀에서 볼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에만 허용되며, 이외의 요청은 무시된다.
예 외 :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감독은 정규 작전타임을 요청할 수 있다.
1. 각 팀에 전, 후반 각각 1번씩 총 2번의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연장 쿼터는 후반의 연장으로 간주하여 후반에 20초 작전타임을 사용하지 않은 팀의 경우 연장 쿼터에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2. 전반 또는 후반에 두 번 20초 작전타임을 요청하는 경우 두 번째에는 자 동적으로 정규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3. 경기시간 계시원은 20초 종료와 함께 부저를 울려야 한다. 20초가 지나도 심판이 경기를 재개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추가로 정규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예외 : 해당 팀에 정규 작전타임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4. 20초 작전타임 요청 시에는 반드시 “20초 작전타임”이라고 말해야 한다.
5. 20초 작전타임에도 하프라인에서 아웃 오브 바운드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 정규 작전타임 - 90초
선수의 작전타임 요청은 데드볼이거나 요청하는 팀에서 볼을 컨트롤하고 있을 때에만 허용되며, 이외의 요청은 무시된다.
선수가 코트나 공중에서, 또는 상대팀이 야투를 성공시켜 볼의 소유권이 인정된 경우 그 팀이 볼을 컨트롤하는 것이 된다. 기타 다른 상황에서의 작전타임 요청은 무시되며, 선수가 “20초 작전타임”이라고 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규 작전타임으로 간주된다.
예외 :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감독은 정규 작전타임을 요청할 수 있다.
1. 각 팀은 정규경기 중 전반에 2개, 후반에 3개, 총 5개의 작전타임을 요청 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전, 후반 각각 1개씩의 20초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2. 연장 쿼터에서는 정규경기나 이전 연장 쿼터에서 남아있는 작전타임 수와 관계없이 1개의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 WKBL (한국 여자 농구 협회) -
- 유니폼 -
1. 모든 선수는 같은 색상의 유니폼을 착용하며, 경기 중에 상의를 하의 속으로 넣어야 한
다. 상의를 하의 속으로 넣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상의의 길이가 하의의 허리밴드 이하
로 내려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하다.
2. 하의는 앞뒤가 같은 색상이어야 하지만 셔츠와 같은 색상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3. 선수의 셔츠 앞뒤에는 셔츠와 대조적인 색상으로 선명하게 잘 보이는 번호를 붙여야 한
다. 등에 붙이는 번호는 높이가 적어도 20cm 이상, 앞에 붙이는 번호는 높이가 적어도
10cm 이상, 숫자의 굵기는 2cm 이상이어야 한다.
* WKBL에 등록된 선수는 등록된 고유번호를 붙여야 한다.
선수의 고유번호는 1~ 99번까지의 모든 번호와 "0"번 그리고"00" 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같은 팀 내에 "0"번 또는 "00"번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
4. WKBL의 각 구단 유니폼 상의 전면에는 구단명과 함께 광고를 부착할 수 있으나, 광고가 번호를 가리거나 번호 크기가 축소되어서는 안 된다. 유니폼셔츠 뒷면 상단에는 최소
한 5cm 높이로 선수의 이름을 넣어야 한다.
5. 홈 팀은 밝은 색을 원정 팀은 어두운 색의 유니폼을 입는다.
6. 선수가 예상치 못한 이유로 자신의 등록 배번과 다른 번호의 유니폼을 착용하고 경기에
출전해야 할 경우에는 WKBL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경기 시간 -
1. 경기는 10분씩 4쿼터로 진행된다.
2. 1,2쿼터 사이와 3,4쿼터 사이 그리고 연장전의 사이 휴식 시간은 2분으로 한다.
3. 하프타임 휴식 시간은 10분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15분으로 할 수 있다.)
4. 경기 시작 시간이 변경 될 경우에는 WKBL 승인을 받아야 한다.
5. 경기 시간 변경은 WKBL에서 정한다. (단, 변경된 경우 하루 전에 각 팀에 통보하여야한다.)
- 작전타임 -
1. 작전타임은 70초로 한다.
2. 작전타임은 1,2쿼터에 각 팀에서 2개의 정규작전타임과 1개의 20초 작전타임, 그리고
3,4쿼터에 3개의 정규작전타임과 1개의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되며, 3,4쿼터에 사용하지 않은 20초 작전 타임은 연장전에서 사용 할 수 있다. 매 연장전마다 각 팀은 1개씩의 작전타임을 허용 한다.
5. 작전타임은 먼저 요청한 팀에게 주어진다. 다만 상대팀이 필드골을 성공시킨 다음에는
파울이 일어나지 않는 한 득점한 반대팀에게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6. 작전타임을 위한 팀의 요청은 기록원이 심판에게 신호를 알리기 전에 취소할 수 있다.
7. 작전타임 기간 동안 선수들은 코트를 떠나 자기 팀 벤치에 앉을 수 있으며 팀 벤치에 앉
을 수 있도록 허가된 팀 관계자는 코트에 출입할 수 있다. 20초 작전타임 동안에는 벤치
에 앉을 수 없다
8. 선수가 요청한 작전타임은 취소할 수 없다.
4. 1, 2 쿼터 사이와 3, 4 쿼터 사이에는 각각 120초의 휴식시간이 허용되며, 4 쿼터와 연장 쿼터 사이에도 120초가 허용된다. 정규 작전타임에는 90초가 허용된다.
5. 퇴장 당한 선수를 교체하는 데에는 30초가 허용된다.
6. 매 쿼터 또는 연장 쿼터에서 경기시간 계시기상에 2분 또는 그 이하가 남아있을 때에는 쿼터종료/경기종료 2분전 상황으로 간주하며, 장내 아나운서는 이를 방송해야 한다.
부상당한 선수가 즉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거나(약15초) 만일 치료를 받는다면 1분 이내에 가급적 신속하게 교체하여야 한다.
7. 경기시간 계시기는 정규 또는 연장 쿼터의 마지막 1분 동안은 10분의 1초까지 나타낼 수 있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8. 선수가 드로우 인 된 볼을 즉각 코트 밖으로 쳐내거나, 드로우 인 된 패스를 받는 즉시 야투를 시도하거나, 또는 자유투가 시도되어 실패된 볼을 잡는 순간 작전타임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최소한 0.3초의 경기시간이 지나간 것으로 본다.
- 동점 - 연장전
쿼터 종료 시 스코어가 동점인 경우 120초 이내에 경기는 공격 바스켓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연장 쿼터로 재개된다.
- 20초 작전타임 -
선수의 20초 작전타임 요청은 데드볼 상태이거나 요청하는 팀에서 볼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에만 허용되며, 이외의 요청은 무시된다.
예 외 :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감독은 정규 작전타임을 요청할 수 있다.
1. 각 팀에 전, 후반 각각 1번씩 총 2번의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연장 쿼터는 후반의 연장으로 간주하여 후반에 20초 작전타임을 사용하지 않은 팀의 경우 연장 쿼터에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2. 전반 또는 후반에 두 번 20초 작전타임을 요청하는 경우 두 번째에는 자 동적으로 정규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3. 경기시간 계시원은 20초 종료와 함께 부저를 울려야 한다. 20초가 지나도 심판이 경기를 재개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추가로 정규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예외 : 해당 팀에 정규 작전타임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4. 20초 작전타임 요청 시에는 반드시 “20초 작전타임”이라고 말해야 한다.
5. 20초 작전타임에도 하프라인에서 아웃 오브 바운드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 정규 작전타임 - 90초
선수의 작전타임 요청은 데드볼이거나 요청하는 팀에서 볼을 컨트롤하고 있을 때에만 허용되며, 이외의 요청은 무시된다.
선수가 코트나 공중에서, 또는 상대팀이 야투를 성공시켜 볼의 소유권이 인정된 경우 그 팀이 볼을 컨트롤하는 것이 된다. 기타 다른 상황에서의 작전타임 요청은 무시되며, 선수가 “20초 작전타임”이라고 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규 작전타임으로 간주된다.
예외 :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감독은 정규 작전타임을 요청할 수 있다.
1. 각 팀은 정규경기 중 전반에 2개, 후반에 3개, 총 5개의 작전타임을 요청 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전, 후반 각각 1개씩의 20초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2. 연장 쿼터에서는 정규경기나 이전 연장 쿼터에서 남아있는 작전타임 수와 관계없이 1개의 작전타임이 허용된다.
- WKBL (한국 여자 농구 협회) -
- 유니폼 -
1. 모든 선수는 같은 색상의 유니폼을 착용하며, 경기 중에 상의를 하의 속으로 넣어야 한
다. 상의를 하의 속으로 넣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상의의 길이가 하의의 허리밴드 이하
로 내려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하다.
2. 하의는 앞뒤가 같은 색상이어야 하지만 셔츠와 같은 색상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3. 선수의 셔츠 앞뒤에는 셔츠와 대조적인 색상으로 선명하게 잘 보이는 번호를 붙여야 한
다. 등에 붙이는 번호는 높이가 적어도 20cm 이상, 앞에 붙이는 번호는 높이가 적어도
10cm 이상, 숫자의 굵기는 2cm 이상이어야 한다.
* WKBL에 등록된 선수는 등록된 고유번호를 붙여야 한다.
선수의 고유번호는 1~ 99번까지의 모든 번호와 "0"번 그리고"00" 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같은 팀 내에 "0"번 또는 "00"번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
4. WKBL의 각 구단 유니폼 상의 전면에는 구단명과 함께 광고를 부착할 수 있으나, 광고가 번호를 가리거나 번호 크기가 축소되어서는 안 된다. 유니폼셔츠 뒷면 상단에는 최소
한 5cm 높이로 선수의 이름을 넣어야 한다.
5. 홈 팀은 밝은 색을 원정 팀은 어두운 색의 유니폼을 입는다.
6. 선수가 예상치 못한 이유로 자신의 등록 배번과 다른 번호의 유니폼을 착용하고 경기에
출전해야 할 경우에는 WKBL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경기 시간 -
1. 경기는 10분씩 4쿼터로 진행된다.
2. 1,2쿼터 사이와 3,4쿼터 사이 그리고 연장전의 사이 휴식 시간은 2분으로 한다.
3. 하프타임 휴식 시간은 10분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15분으로 할 수 있다.)
4. 경기 시작 시간이 변경 될 경우에는 WKBL 승인을 받아야 한다.
5. 경기 시간 변경은 WKBL에서 정한다. (단, 변경된 경우 하루 전에 각 팀에 통보하여야한다.)
- 작전타임 -
1. 작전타임은 70초로 한다.
2. 작전타임은 1,2쿼터에 각 팀에서 2개의 정규작전타임과 1개의 20초 작전타임, 그리고
3,4쿼터에 3개의 정규작전타임과 1개의 20초 작전타임이 허용되며, 3,4쿼터에 사용하지 않은 20초 작전 타임은 연장전에서 사용 할 수 있다. 매 연장전마다 각 팀은 1개씩의 작전타임을 허용 한다.
5. 작전타임은 먼저 요청한 팀에게 주어진다. 다만 상대팀이 필드골을 성공시킨 다음에는
파울이 일어나지 않는 한 득점한 반대팀에게 작전타임이 주어진다.
6. 작전타임을 위한 팀의 요청은 기록원이 심판에게 신호를 알리기 전에 취소할 수 있다.
7. 작전타임 기간 동안 선수들은 코트를 떠나 자기 팀 벤치에 앉을 수 있으며 팀 벤치에 앉
을 수 있도록 허가된 팀 관계자는 코트에 출입할 수 있다. 20초 작전타임 동안에는 벤치
에 앉을 수 없다
8. 선수가 요청한 작전타임은 취소할 수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