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내기의 발달 특성
1) 난체기
2) 배아기
3) 태아기
2. 태내기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유전적 요인
2) 임산부의 상태
(1) 질병
(2) 연령
(3) 성병
(4) 출산경험
(5) 어머니의 영양
(6) RH 부조화
(7) 어머니의 약복용
3) 외부환경
(1) 방사선
(2) 화학물질, 중금속, 환경 오염물질
참고문헌
1) 난체기
2) 배아기
3) 태아기
2. 태내기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유전적 요인
2) 임산부의 상태
(1) 질병
(2) 연령
(3) 성병
(4) 출산경험
(5) 어머니의 영양
(6) RH 부조화
(7) 어머니의 약복용
3) 외부환경
(1) 방사선
(2) 화학물질, 중금속, 환경 오염물질
참고문헌
본문내용
액형이 Rh+인 경우에, 모체의 혈액은 Rh+에 대항하기 위해서 항체를 만드는데, 이것이 태아의 혈액 속에 들어가서 적혈구를 파괴하고 산소 보급을 방해하여 태아를 죽게 하거나 유산시키며, 살아서 출산되더라도 대부분 정신박약아가 된다(김경희, 1999).
(7) 어머니의 약복용
많은 임신한 여성들은 커피나 홍차 혹은 콜라를 마심으로써 카페인을 복용한다. 자동판매기의 보급은 성인은 물론 어린 아동들도 손쉽게 카페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다량의 카페인 섭취는 불완전한 태내발달을 야기 시키고 태아사망률을 증가시킨다(Moore, 1983).
또한 임부의 흡연은 태아의 체중감소는 물론 조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흡연이 저체중과 조산을 일으키는 중요한 이유는 태아가 산소부족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흡연은 임부의 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키며 혈액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태아는 만성적인 산소부족을 경험한다. 더욱이 어머니 혈액 속의 어떤 화학물질의 증가는 자궁과 태반 사이의 혈관을 축소시키므로 태아는 산소와 영양물질의 섭취에 방해를 받는다. 그 결과 태아는 산소부족에 기인된 대뇌 이상을 갖게 되고, 작은 구대골과 언청이 및 출산 시의 저체중으로고통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또 하나 임부의 알코올 섭취는 소위 태아알코올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이라는 장애를 일으킨다. 이 증후군을 갖는 아동들의 특징은 출산 시의 저체중과 출생 이후의 성장지체, 보통 이하의 지능, 심장질환과 특징적인 얼굴, 즉 양미간이 넓고 코가 납작하며 윗입술이 얇은 얼굴모습, 높은 빈도의 섭식문제와 수면문제, 청각손상과 언어발달 미숙, 과활동성과 부주의함을 나타낸다. 흡연과 동일하게 알코올섭취는 특히 임신 제3분기 동안 태아의 대뇌피질의 성장을 제한하고 키와 몸무게의 증가를 방해한다.
3) 외부환경
(1) 방사선
임신 이전의 방사선 투과도 생식세포의 염색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부의 하복부나 골반에 x광선을 투과하지 말아야한다. 임신직후, 수정란이 착상되기 이전에 방사선에 노출되면 접합자는 죽게 되며 착상 이후의 방사선 노출은 성장을 지체시키거나 기형을 일으킨다. 특히 중추신경계의 기형으로 출생 직후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장휘숙, 2004).
(2) 화학물질, 중금속, 환경 오염물질
최근 화학물질과 중금속 및 각종 환경 오염물질은 태내발달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다이옥신을 포함하는 제초제는 높은 비율의 유산과 태아기형을 초래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폴리 염화페닐에 오염된 물고기를 먹은 임부의 태아는 신체발달이 저조하고 조산될 위험이 있으며, 출산 후에는 느린 감각반응과 지각장애를 나타내기 쉽다.
참고문헌
김혜금, 송영주 외 저, 정신건강론, 정민사 2015
박상희, 김지영 외 저, 아동정신건강, 양서원 2014
황현주, 유은정 외 저, 교사를 위한 아동정신건강, 파란마음 2013
오미경 저, 아동건강교육, 공동체, 2015
(7) 어머니의 약복용
많은 임신한 여성들은 커피나 홍차 혹은 콜라를 마심으로써 카페인을 복용한다. 자동판매기의 보급은 성인은 물론 어린 아동들도 손쉽게 카페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다량의 카페인 섭취는 불완전한 태내발달을 야기 시키고 태아사망률을 증가시킨다(Moore, 1983).
또한 임부의 흡연은 태아의 체중감소는 물론 조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흡연이 저체중과 조산을 일으키는 중요한 이유는 태아가 산소부족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흡연은 임부의 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키며 혈액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태아는 만성적인 산소부족을 경험한다. 더욱이 어머니 혈액 속의 어떤 화학물질의 증가는 자궁과 태반 사이의 혈관을 축소시키므로 태아는 산소와 영양물질의 섭취에 방해를 받는다. 그 결과 태아는 산소부족에 기인된 대뇌 이상을 갖게 되고, 작은 구대골과 언청이 및 출산 시의 저체중으로고통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또 하나 임부의 알코올 섭취는 소위 태아알코올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이라는 장애를 일으킨다. 이 증후군을 갖는 아동들의 특징은 출산 시의 저체중과 출생 이후의 성장지체, 보통 이하의 지능, 심장질환과 특징적인 얼굴, 즉 양미간이 넓고 코가 납작하며 윗입술이 얇은 얼굴모습, 높은 빈도의 섭식문제와 수면문제, 청각손상과 언어발달 미숙, 과활동성과 부주의함을 나타낸다. 흡연과 동일하게 알코올섭취는 특히 임신 제3분기 동안 태아의 대뇌피질의 성장을 제한하고 키와 몸무게의 증가를 방해한다.
3) 외부환경
(1) 방사선
임신 이전의 방사선 투과도 생식세포의 염색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부의 하복부나 골반에 x광선을 투과하지 말아야한다. 임신직후, 수정란이 착상되기 이전에 방사선에 노출되면 접합자는 죽게 되며 착상 이후의 방사선 노출은 성장을 지체시키거나 기형을 일으킨다. 특히 중추신경계의 기형으로 출생 직후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장휘숙, 2004).
(2) 화학물질, 중금속, 환경 오염물질
최근 화학물질과 중금속 및 각종 환경 오염물질은 태내발달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다이옥신을 포함하는 제초제는 높은 비율의 유산과 태아기형을 초래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폴리 염화페닐에 오염된 물고기를 먹은 임부의 태아는 신체발달이 저조하고 조산될 위험이 있으며, 출산 후에는 느린 감각반응과 지각장애를 나타내기 쉽다.
참고문헌
김혜금, 송영주 외 저, 정신건강론, 정민사 2015
박상희, 김지영 외 저, 아동정신건강, 양서원 2014
황현주, 유은정 외 저, 교사를 위한 아동정신건강, 파란마음 2013
오미경 저, 아동건강교육, 공동체, 2015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건강론 치매
아동기정신건강문제및해결방안
[정신건강론] 초등학생의 휴대폰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
정신건강론 - 방어기제에 관해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반추장애(섭식장애) 이해 - 반추장애의 진단과 분류, 반추장애의 특...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유분증(encopresis)의 이해 - 유분증 진단과 분류, 유분증의 특성과...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비만(섭식장애)의 이해 - 비만의 진단과 특성 및 원인(유전적 요인,...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의 이해 - 반응성 ...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ADHD)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개...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유뇨증(enuresis) 이해하기(유뇨증의 진단과 분류, 유뇨증의 특성과...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신체적 발달, 성적 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 우울증의 이해(우울증의 원인과 특...
정신건강론의 발달과정
정신건강론-정상과 비정상에서 비정상의 정의와 특징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