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찰조직과 개인
I. 조직과 개인
1. 조직
2. 개인
II. 경찰의 개인역할
1. 개요
2. 역할의 특성
3. 역할기대의 유형
1) 기대의 상충
2) 역할의 충돌
3) 중첩된 역할
4) 역할의 갈등
III. 지위와 권력
1. 지위
1) 개요
2) 특성
2. 권력
1) 개요
2) 권력의 특성
3) 권력의 통제수단
I. 조직과 개인
1. 조직
2. 개인
II. 경찰의 개인역할
1. 개요
2. 역할의 특성
3. 역할기대의 유형
1) 기대의 상충
2) 역할의 충돌
3) 중첩된 역할
4) 역할의 갈등
III. 지위와 권력
1. 지위
1) 개요
2) 특성
2. 권력
1) 개요
2) 권력의 특성
3) 권력의 통제수단
본문내용
, 유능한 구성원의 적재적소활용이 어려워진다.
2. 권력
1) 개요
권력(Power)이라 함은 남을 지배하여 강제적으로 복종시키는 힘을 의미하며, 정치학의 기본적 개념의 하나로 정치권력이라고도 한다. 자치의 시대라고 하는 오늘날에는 권력을 우상화하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어 있다. 권력의 정의를 내리는 문제에 있어서는 지배 복종 통제 정치 권위 등과 엇갈리고 뒤섞이어 사람마다 갖가지 개념이 사용되며, 또 정확한 정의가 부여되기 어려운 무엇인가가 존재하고 있다.
법은 의미로서는 물리학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것이라 하여, 러셀(Russell)은 의도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힘이라 하였고, 홉스(Hobbes)는 선이라고 생각되는 장래의 어떤 것을 획득하기 위해 현재 가지고 있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베버(Weber)는 어떤 사회관계의 내부에서 자기의 의사를 저항을 무릅쓰고까지 관철해야 할 모든 기회라고 말하였다.
조직학에서는 '개인 또는 집단이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의 행동을 자기의 뜻대로 복종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통제하는 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이 정치적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 조직되는 경우에는 정치권력이라 하며, 단적으로 공권력 또는 국가권력이라 부르기도 한다. 권력의 궁극적 보장으로서 경찰 군대 교도소 등이 물리적 강제력을 가지며, 그것이 합법화되고 있는 점에 특색이 있다. 권력은 권력구조를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2) 권력의 특성
1/ 행동주체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권력은 자원이 뒷받침된다.
2/ 권력관계는 의존관계라고 할 수 있다.
3/ 권력은 권력행사의 상대방이 선택하는 대안에 의존하는 현상이다.
4/ 권력은 행동주체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다.
5/ 권력관계는 동태적이며 가변적인 것이다.
6/ 조직 내의 권력관계는 다방향적인 현상이다.
3) 권력의 통제수단
1/ 물리적 권력으로써 강압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형벌의 사용 또는 그러한 형벌을 사용하겠다는 위협으로 조직을 통제할 수 있다.
2/ 물질적 권력으로써 공리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재화와 용역과 같은 물질적 자원의 배분으로 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급여 또는 경제적 이익 등을 배분하여 갈등을 해소하면서 통제하는 수단이다.
3/ 상징적 권력으로써 규범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상징적인 보상 및 박탈을 분배하거나 조작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명예 위신 애정 인정감 등을 이용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2. 권력
1) 개요
권력(Power)이라 함은 남을 지배하여 강제적으로 복종시키는 힘을 의미하며, 정치학의 기본적 개념의 하나로 정치권력이라고도 한다. 자치의 시대라고 하는 오늘날에는 권력을 우상화하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어 있다. 권력의 정의를 내리는 문제에 있어서는 지배 복종 통제 정치 권위 등과 엇갈리고 뒤섞이어 사람마다 갖가지 개념이 사용되며, 또 정확한 정의가 부여되기 어려운 무엇인가가 존재하고 있다.
법은 의미로서는 물리학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것이라 하여, 러셀(Russell)은 의도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힘이라 하였고, 홉스(Hobbes)는 선이라고 생각되는 장래의 어떤 것을 획득하기 위해 현재 가지고 있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베버(Weber)는 어떤 사회관계의 내부에서 자기의 의사를 저항을 무릅쓰고까지 관철해야 할 모든 기회라고 말하였다.
조직학에서는 '개인 또는 집단이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의 행동을 자기의 뜻대로 복종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통제하는 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이 정치적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 조직되는 경우에는 정치권력이라 하며, 단적으로 공권력 또는 국가권력이라 부르기도 한다. 권력의 궁극적 보장으로서 경찰 군대 교도소 등이 물리적 강제력을 가지며, 그것이 합법화되고 있는 점에 특색이 있다. 권력은 권력구조를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2) 권력의 특성
1/ 행동주체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권력은 자원이 뒷받침된다.
2/ 권력관계는 의존관계라고 할 수 있다.
3/ 권력은 권력행사의 상대방이 선택하는 대안에 의존하는 현상이다.
4/ 권력은 행동주체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다.
5/ 권력관계는 동태적이며 가변적인 것이다.
6/ 조직 내의 권력관계는 다방향적인 현상이다.
3) 권력의 통제수단
1/ 물리적 권력으로써 강압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형벌의 사용 또는 그러한 형벌을 사용하겠다는 위협으로 조직을 통제할 수 있다.
2/ 물질적 권력으로써 공리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재화와 용역과 같은 물질적 자원의 배분으로 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급여 또는 경제적 이익 등을 배분하여 갈등을 해소하면서 통제하는 수단이다.
3/ 상징적 권력으로써 규범적 권력이라고도 하며, 상징적인 보상 및 박탈을 분배하거나 조작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명예 위신 애정 인정감 등을 이용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이 판매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생애개발에서 개인이 해야할 부분과 조직이 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비교 - 생애개발 교육, 라...
[조직행동론] 개인과 조직의 관계
조직행동[조직이 개인에 미치는 영향]
개인 및 조직의 동기부여 기법
조직속에서의 개인
[개인태도와 문화차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문화
스트레스(개념, 원인, 종류, 유형, 단계, 스트레스 결과, 스트레스 관리 방법, 조직차원 개인...
[우수평가자료]차이를 만드는 조직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
동기부여 이론과 리더쉽 이론 [조직행동론] (개인과 조직행위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에 ...
사례관리의 핵심적인 기능과 특징을 기술하고 민간사회복지조직에서 사례관리의 효과성과 필...
지식knowledge관리 활동의 개념과 개인의 혁신형태 및 지식관리활동의 이해(조직몰입과 지식...
사회복지행정에 있어 정보관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인 반면, 조직은 물론, 개인정보보호법이 ...
인력개발과활용 ) 조직 내 학습극대화하기 위한 동기부여 사례를 설명하시오 단 여기서 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