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1) 라포 형성 및 유지
(2) 아동의 자연스런 자발성 이용하기
(3) 적절한 어휘의 사용
(4) 아동의 용어를 명료화하기
(5) 적절한 질문하기
(6) 구성진술 사용하기
(7) 적절한 대답 격려하기
(8) 효과적인 탐색 사용하기
(9) 반영과 피드백 사용하기
(10) 질문의 시기를 적절하게 맞추기
(11) 주제 바꾸기
(12) 곤란한 행동 인내하기
(13) 침묵 다루기
(1) 라포 형성 및 유지
(2) 아동의 자연스런 자발성 이용하기
(3) 적절한 어휘의 사용
(4) 아동의 용어를 명료화하기
(5) 적절한 질문하기
(6) 구성진술 사용하기
(7) 적절한 대답 격려하기
(8) 효과적인 탐색 사용하기
(9) 반영과 피드백 사용하기
(10) 질문의 시기를 적절하게 맞추기
(11) 주제 바꾸기
(12) 곤란한 행동 인내하기
(13) 침묵 다루기
본문내용
어적 이야기에 주목하기
- 아동의 언어적, 비언어적 이야기 사이에 주목할만한 차이가 관찰되는 상황에서 반영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기술과 민감성이 필요 , 차이를 발견했을 때 아동이 언제 그러나 차이에 주목하게 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10) 질문의 시기를 적절하게 맞추기
- 아동과 면접자의 관계에 근거해 민감한 주제를 논의할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면접자의 질문과 언급이 아동의사고 흐름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하며 속도는 흥미를 유지할 정도로 아동이 대답을 잘 할 수 있을 정도로 점진적으로 함
(11) 주제 바꾸기
- 하나의 주제를 이끌거나 주제를 바꿀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훈련과 민감성이 필요하다. 질문에 있어서 극적인 변화를 피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변화에 대한 설명을 함으로써 아동이 면접자가 시도하려는 것에 관해 잘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아동이 관련 있는 다른 주제를 이야기했을 때 면접자는 그것을 따라가서 연속성을 잃는 모험을 할 것인지, 아니면 부가적인 정보를 잃을 모험을 하면서 이전의 주제를 계속 머물러 있을지 결정하며 아동이 회피책략으로서 주제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변화에 주목하고 필요하다면 이후의 원래의 주제로 돌아가야 한다.
(12) 곤란한 행동 인내하기
- 아동이 파괴적인 놀이, 울기 등 면접자를 불편하게 하는 행동을 통해 불편함을 나타낸다면 성급하게 그 행동을 멈추게 하고 너무 빨리 면접을 진행 시켜서는 안 된다. 그 불편함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 행동이 부적절해지는 시기를 하는 것이 핵심이다.
(13) 침묵 다루기
- 침묵은 아동이 주제에 대해 정보를 다 제공했다는 것, 더 많은 정보를 회상하거나 사고를 확증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자신이 오해받고 있다는 느낌, 민감한 부분이 건드려졌다는 느낌을 의미할 수 있다. 침묵은 과거의 어떤 나쁜 사건에 대해 깊이 생각 하거나 슬퍼하고 있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면접 과정이 억제되거나 아동이 계속하기를 지나치게 주저할 때 아동의 어려움에 관해 논의하도록 한다. 아동의 흥미가 환기되고 좀더 반응적이게 될 수도 있다. 만약 아동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아동의 성마름이나 불안의 근원을 알아보아야 한다. 그러나 아동이 말을 하도록 시도하는 과정에서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침묵은 저항을 가르키는 것일 수도 있다. 아동에게 의미가 있거나 중요한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도와주어 그 저항을 다룰 수 있다.
- 아동의 언어적, 비언어적 이야기 사이에 주목할만한 차이가 관찰되는 상황에서 반영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기술과 민감성이 필요 , 차이를 발견했을 때 아동이 언제 그러나 차이에 주목하게 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10) 질문의 시기를 적절하게 맞추기
- 아동과 면접자의 관계에 근거해 민감한 주제를 논의할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면접자의 질문과 언급이 아동의사고 흐름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하며 속도는 흥미를 유지할 정도로 아동이 대답을 잘 할 수 있을 정도로 점진적으로 함
(11) 주제 바꾸기
- 하나의 주제를 이끌거나 주제를 바꿀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훈련과 민감성이 필요하다. 질문에 있어서 극적인 변화를 피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변화에 대한 설명을 함으로써 아동이 면접자가 시도하려는 것에 관해 잘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아동이 관련 있는 다른 주제를 이야기했을 때 면접자는 그것을 따라가서 연속성을 잃는 모험을 할 것인지, 아니면 부가적인 정보를 잃을 모험을 하면서 이전의 주제를 계속 머물러 있을지 결정하며 아동이 회피책략으로서 주제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변화에 주목하고 필요하다면 이후의 원래의 주제로 돌아가야 한다.
(12) 곤란한 행동 인내하기
- 아동이 파괴적인 놀이, 울기 등 면접자를 불편하게 하는 행동을 통해 불편함을 나타낸다면 성급하게 그 행동을 멈추게 하고 너무 빨리 면접을 진행 시켜서는 안 된다. 그 불편함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 행동이 부적절해지는 시기를 하는 것이 핵심이다.
(13) 침묵 다루기
- 침묵은 아동이 주제에 대해 정보를 다 제공했다는 것, 더 많은 정보를 회상하거나 사고를 확증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자신이 오해받고 있다는 느낌, 민감한 부분이 건드려졌다는 느낌을 의미할 수 있다. 침묵은 과거의 어떤 나쁜 사건에 대해 깊이 생각 하거나 슬퍼하고 있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면접 과정이 억제되거나 아동이 계속하기를 지나치게 주저할 때 아동의 어려움에 관해 논의하도록 한다. 아동의 흥미가 환기되고 좀더 반응적이게 될 수도 있다. 만약 아동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아동의 성마름이나 불안의 근원을 알아보아야 한다. 그러나 아동이 말을 하도록 시도하는 과정에서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침묵은 저항을 가르키는 것일 수도 있다. 아동에게 의미가 있거나 중요한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도와주어 그 저항을 다룰 수 있다.
추천자료
방과후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범대]-아동발달의 정신분석이론
사례연구를 통해 본 아동의 공격성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이혼가정의 실태와 이혼가정 아동의 문제점 및 사회복지실천 해결방안 (김해시 건강가정지원...
[아동 발달]애착관계 형성과 언어발달 관찰내용과 분석
이혼가정과 아동
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부모 연결 프로그램 논문 요약 레포트
KPI-C(한국 아동 인성 검사) 분석
부산 아동청소년 관련기관조사
[아동복지론] 가정위탁보호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와 입양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
[아동상담] 사례개념화 및 상담과정
[아동상담] 사례개념화 상담과정.pptx
굿네이버스 전라북도 아동보호전문기관(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실습평가서, 최종보고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사회성숙도 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