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신라 <처용가>의 내용
1) 원문과 해석
3. 고려 <처용가>의 내용
1) 배경
2) 배경설화
4. 두 <처용가>의 비교
5. 결론
2. 신라 <처용가>의 내용
1) 원문과 해석
3. 고려 <처용가>의 내용
1) 배경
2) 배경설화
4. 두 <처용가>의 비교
5. 결론
본문내용
익살스러운 비유들이 재치있었다. 이 대목에서 옛사람들의 유머감각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네 번째 연에서는 그제야 ‘이것이 처용가구나.’라는 느낌을 받았다. 필자가 알고 있던 신라 <처용가>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반가운 마음과 동시에 퍼즐처럼 짜맞춰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5. 결론
8구체의 짧은 <처용가>에서부터 구구절절 길게 써내려간 <처용가>까지 읽어보면서, 두 가지 작품에 같은 내용이 이리저리 변형되어 녹아들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내용은 서로 비슷했지만 다가오는 느낌만은 달랐다. 만약 둘 중에 한 작품을 꼽자면 신라 <처용가>를 꼽겠다. 의식과 결부되어 사용되던 고려 <처용가>보다는 작가의 손에서 그려진 그 모습 그대로의 <처용가>가 훨씬 더 순수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작가 미상인 것이 많이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좋은 작품을 남겼다는 것에 뿌듯해 할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두 작품 모두 각각의 대력을 가지고 있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아왔기에 가치를 논할 수는 없겠다.
-참고자료
최철, 「한결 김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 고려 처용가의 (處容歌) 해석」, 『동방학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5, p179-180.
5. 결론
8구체의 짧은 <처용가>에서부터 구구절절 길게 써내려간 <처용가>까지 읽어보면서, 두 가지 작품에 같은 내용이 이리저리 변형되어 녹아들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내용은 서로 비슷했지만 다가오는 느낌만은 달랐다. 만약 둘 중에 한 작품을 꼽자면 신라 <처용가>를 꼽겠다. 의식과 결부되어 사용되던 고려 <처용가>보다는 작가의 손에서 그려진 그 모습 그대로의 <처용가>가 훨씬 더 순수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작가 미상인 것이 많이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좋은 작품을 남겼다는 것에 뿌듯해 할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두 작품 모두 각각의 대력을 가지고 있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아왔기에 가치를 논할 수는 없겠다.
-참고자료
최철, 「한결 김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 고려 처용가의 (處容歌) 해석」, 『동방학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5, p179-18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