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학교육에 있어 좋은 책에 대하여
2. 문학을 통한 수학교육활동계획안을 작성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수학교육에 있어 좋은 책에 대하여
2. 문학을 통한 수학교육활동계획안을 작성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든다.
⑦ 토끼, 거북이 얼굴 모양을 완성하고 융으로 감싼 하드보드지에 붙인다.
-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삼각뿔 전개도를 그린다. 주사위 위에 거북이와 토끼 그림을 그려 넣는다.
② 접히는 부분(사진에서 빨간 줄이 그어진 부분)에 칼집을 내서 접는다.
③ 검은색 펠트지로 숫자(1, 2, 3)를 만들어 바탕이 될 펠트지에 꿰맨다.
④ 나머지 한 면은 별, 하트 등 모양을 정해 펠트지를 오린 후 꿰맨다.
⑤ 4개의 면을 꿰매서 주사위를 덮어준다.
활동방법
① 동화책을 그려주고, 토끼를 좋아하는 친구들 끼리 편을 먹고, 거북이를 좋아하는 친구들 끼리 편을 먹는다. 그리고 대표 두 명이 가위 바위 보로 순서를 정한다.
② 이긴 사람이 먼저 주사위를 굴린다.
③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헤아리고, 틀린 영유아에게는 토끼나 거북이 처럼 행동하는 벌칙을 가한다.
④ 만약 모양 면이 나왔을 경우 한 번 더 던진다.
⑤ 총 15번 이긴 팀이 승리하낟.
유의점
* 놀이 할 때 유의점
- 동물을 고를 때 다툼이 있을 수 있으니 다음 게임 때 동물을 바꿀 수 있게 한다.
- 마음에 드는 편에 들수 있지만, 너무 한 편에 영유아들이 몰리지 않도록 한다.
Ⅲ. 결론
앞서 언급된 수교육 계획안은 영유아중심의 열린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러한 교육은 과거 우리시대의 주입식교육의 폐단을 맏는 거의 유일한 대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고, 우리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영유아 주도의 수교육 활동이 더욱 장려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영유아 수학교육 안경숙, 김소향 저 | 양서원 | 2015.01.12.
⑦ 토끼, 거북이 얼굴 모양을 완성하고 융으로 감싼 하드보드지에 붙인다.
-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삼각뿔 전개도를 그린다. 주사위 위에 거북이와 토끼 그림을 그려 넣는다.
② 접히는 부분(사진에서 빨간 줄이 그어진 부분)에 칼집을 내서 접는다.
③ 검은색 펠트지로 숫자(1, 2, 3)를 만들어 바탕이 될 펠트지에 꿰맨다.
④ 나머지 한 면은 별, 하트 등 모양을 정해 펠트지를 오린 후 꿰맨다.
⑤ 4개의 면을 꿰매서 주사위를 덮어준다.
활동방법
① 동화책을 그려주고, 토끼를 좋아하는 친구들 끼리 편을 먹고, 거북이를 좋아하는 친구들 끼리 편을 먹는다. 그리고 대표 두 명이 가위 바위 보로 순서를 정한다.
② 이긴 사람이 먼저 주사위를 굴린다.
③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헤아리고, 틀린 영유아에게는 토끼나 거북이 처럼 행동하는 벌칙을 가한다.
④ 만약 모양 면이 나왔을 경우 한 번 더 던진다.
⑤ 총 15번 이긴 팀이 승리하낟.
유의점
* 놀이 할 때 유의점
- 동물을 고를 때 다툼이 있을 수 있으니 다음 게임 때 동물을 바꿀 수 있게 한다.
- 마음에 드는 편에 들수 있지만, 너무 한 편에 영유아들이 몰리지 않도록 한다.
Ⅲ. 결론
앞서 언급된 수교육 계획안은 영유아중심의 열린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러한 교육은 과거 우리시대의 주입식교육의 폐단을 맏는 거의 유일한 대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고, 우리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영유아 주도의 수교육 활동이 더욱 장려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영유아 수학교육 안경숙, 김소향 저 | 양서원 | 2015.01.12.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문학교육론
문학교육의 의의
신비평과 문학교육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반응중심 동화 교육의 방법 - 창의적 사고와 반응중심 문학교육,...
전자책과 생태동화의 활용방안을 만3세~만5세 문학교육의 특징과 연계하여 자신의 생각을 기...
유아 수학교육의 다양한 통합적 적용을 통한 수업계획안을 작성.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활동계획안을 작성.
아동의 수 감각을 일깨워주기 위한 일상생활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인이 ...
[문학교육] 교수학습전략 - 이상의 ‘거울’이라는 시를 활용한 ‘시’읽기 수업
[문학교육] 임화의 작품세계와 그의 시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우리 오빠와 하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 교수학습전략(수업지도안) - 이외수의 ‘들개’ 상징 이해하고 창작하기
[문학교육] 구체적 작품의 실재적 교수와 평가 방안(김건원의 현대 단편 소설 '대목'을 중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