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우리는 왜 ‘영웅만들기’에 주목해야 하는가?
본론: 책 요약 및 이데올로기 접목
이승복의 영웅화
본론: 책 요약 및 이데올로기 접목
이승복의 영웅화
본문내용
정권은 이순신을 민족주의적 영웅으로 부상시키며 이순신과 같은 국가와 민족에의 충성을 주입시킨다. 과거의 적은 왜군이었으나, 이때의 적은 다름 아닌 북한이다. 여기서 원론적인 질문을 던져보자. 북한은 우리 민족이 아닌가?
민족이라는 실체 없는 개념을 통하여 국가의 통일을 꾀한다는 점에서, 이순신의 영웅화는 파시즘과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민족주의나 파시즘 자체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것 또한 이데올로기라는 것은 명관약화하다. 민족이라는 가상의 개념을 만들어 민족 내부의 결속력을 다지고, 민족에 속하지 않은 이를 배척한다는 것이 민족주의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박정희 정권은 이 민족주의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자신의 권력 기반을 다지고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낸다.
이승복의 경우와 달리, 이순신은 영웅으로서의 자격을 많이 갖추고 있다는 것이 박정희 정권이 주창하는 이데올로기를 더욱 공고하게 한다. 그것은 일반적인 범주에서 우리와 같은 민족이라 할 수 있을 북한을 적으로 만들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진다. 민족과 국가에 충성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라는 의문은 이순신이라는 영웅을 통해 힘을 잃는다. 이순신의 영웅화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이순신의 영웅화는 선별적 전통과도 연관된다. 기존에도 존재하기는 했으나 지배적이지 않았던 이순신이라는 전통을, 현재의 필요에 의해 끌어온 셈이니까 말이다. 대중들은 이순신이라는 사람이 가진 유교적 신념을 전통적 미덕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것 또한 전통의 탈을 쓴 이데올로기로 대중에게 작용한다
민족이라는 실체 없는 개념을 통하여 국가의 통일을 꾀한다는 점에서, 이순신의 영웅화는 파시즘과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민족주의나 파시즘 자체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것 또한 이데올로기라는 것은 명관약화하다. 민족이라는 가상의 개념을 만들어 민족 내부의 결속력을 다지고, 민족에 속하지 않은 이를 배척한다는 것이 민족주의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박정희 정권은 이 민족주의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자신의 권력 기반을 다지고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낸다.
이승복의 경우와 달리, 이순신은 영웅으로서의 자격을 많이 갖추고 있다는 것이 박정희 정권이 주창하는 이데올로기를 더욱 공고하게 한다. 그것은 일반적인 범주에서 우리와 같은 민족이라 할 수 있을 북한을 적으로 만들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진다. 민족과 국가에 충성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라는 의문은 이순신이라는 영웅을 통해 힘을 잃는다. 이순신의 영웅화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이순신의 영웅화는 선별적 전통과도 연관된다. 기존에도 존재하기는 했으나 지배적이지 않았던 이순신이라는 전통을, 현재의 필요에 의해 끌어온 셈이니까 말이다. 대중들은 이순신이라는 사람이 가진 유교적 신념을 전통적 미덕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것 또한 전통의 탈을 쓴 이데올로기로 대중에게 작용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의 대중음악과 대중문화
대중을 속이는 대중문화
여성영웅신화와 남성영웅신화를 통해 살펴본 세계관과 인간관
한국 자본주의 전개과정과 특징 및 재벌독재 경제구조의 재구조화
히틀러의 독재정치
사회주의 정권의 일당 독재화, 그리고 집단지도체제 - 스탈린주의를 중심으로
박정희 개발독재의 허와실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정권]아르헨티나의 역사, 아르헨티나의 시기별 정권, 아르헨티나의 ...
[스타][연예인][팬클럽][백댄서][연예산업][대중문화]스타(연예인)와 문화, 스타(연예인)와 ...
모순적 수식어. 청렴한 독재자-리콴유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대중소설을 통한 시대 읽기 “별들의 고향”에서부터 “낭만적 사랑과 사회”로
대중음악의 이해-인디밴드의 생산, 매개, 소비의 형태에 대한 보고서- Crying Nut, No Brai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