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건

삼현도드리 4장 1장 - 10박 1장단 나머지-도드리장단 (6박자) 1장-돌장(가락덜이와 연결) 나머지-6박자도드리음악 1장 = 4장(선율반복) 하현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삼현도드리를 4도↓로, 2장 이하 곡을 변주한 곡 염불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육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용도별 연결이 바른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절고 - 사물놀이② 소리북 - 판소리 ③ 용고 - 대취타④ 좌고 - 삼현육각 ⑤ 풍물북 - 풍물놀이 25. 꽹과리와 징에 대한 설명입니다. 잘못된 것을 찾으세요. ① 놋쇠로 만든 타악기이다. ② 징은 꽹과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삼현삼죽(三絃三竹)을 모두 갖춤, 拍은 없음. 시용전정헌가(時用殿庭軒架) : 拍과 大은 있으나 中小은 없다(중금소금의 용도가 줄고 있음, 여기서의 출현이 마지막). ※후에 고종대에 ‘대한예전’에서 악현 재정리하면서 대금중금소금(삼현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용도는 편종과 같다. 〈꽹과리〉 꽹매기 또는 깽쇠라고도 한다. 작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나무공이가 달린 채로 쳐서 소리내는데, 종묘제례악에 쓰일 때는 소금(小金)이라 하고, 농악 ·불교음악 ·무속음악에 쓰일 때는 꽹과리라 한다.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