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리론과 주기론으로 가르고, 그것을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로 규정 지으려는 다카하시의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조선의 리기철학은 리를 목표로 하고 기를 제어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에 조금도 의심치 않았던 철학이다. 리 중심의 철학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적인 관점을 받아들여 그 논의를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그는 이(理)와 기(氣) 중 이(理)의 우위성을 강조하는 주리론적(主理論的) 관점을 견지했는데 바로 그 점으로 인해 그의 철학적 경향을 주리론으로 부르는 것이다. 주리주기(主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명하게 부각된다.
그러나 주기론에서 이는 기와 떨어져 존재할 수 있는 객관적 실재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와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는 기의 법칙성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또 사단칠정론에서 보듯이, 이에 대해 주리론에서는 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론(主理論)에 대립하는 주기론(主氣論)으로 집대성되었다. 이이는 이· 기의 근본이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며, 이것이 이기지묘(理氣之妙)라고 하여 양자의 통일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가 독립적으로 운동성을 가진다는 이발설(理發說)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설 (主理說)을 계승, 주자의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을 발전 시켜 이기호발설 [理氣互發說] 등 주리적 사상을 형성함으로써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 하였다.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이고 여기에 따른 것을 최고의 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