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I. 기대이론
II. 공정성이론
III. 목표설정이론
IV. 강화이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적 해석 9
1.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9
2.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10
3. 공정성이론(Equity Theory) 10
4.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11
Ⅳ. 성과급 제도의 실제 12
1. 주요 외국의 제도 12
2. 한국의 제도 14
1) 성과급적 연봉제와 성과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이며, 피터 드러커가 주장한 목표관리(MBO)와 관련이 있는 이론이다.
목표관리(MBO)에 있어서 목표가 그 의미를 지니려면 다음과 같은 원칙(SMART)을 갖추어야 한다.
<표> 목표설정의 5원칙
4.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강화이론은 행동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으로 내재적 보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1. 동기부여 과정이론의 의의
2.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Vroom
3. 공정성이론(Equity theory-Adams)
4. 강화이론
5.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Locke)
6. 인지적 평가이론(cognitive evalu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론이다. 즉 목표이론에서는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목표의 다양한 속성과 행동유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젊은이여, 야망을 가져라'라는 격언은 인생에 있어서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도록 노력하라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