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순이다...라고 적혀져 있다. 이것은 그때까지 금속활자로 된 이 책을 1239년 9월에 다시 목판본으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따라서, 이 간기의 기록이 사실이라면 적어도 1239년 이전부터 고려에 금속활자 인쇄가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전(以前) 기원설
1.5 수조(隋朝) 기원설
1.6 당조(唐朝) 기원설.
2 활자인쇄술(活字印刷術) 기원설(起源說)
2.1 교니활자인쇄술(膠泥活字印刷術)의 발명
2.2 목활자인쇄술(木活字印刷術)의 발명
2.3 금속활자인쇄술(金屬活字印刷術)의 발명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활자를 주로 하여 찍었는데, 이때 사용된 목활자를 총칭하여 \'실록자\'라고 일컫고 있다.
6. 교서관(校書館) 필서체자(筆書體字)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쳐 인조 말기에 이르러 비로소 국가의 인쇄 업무가 옛날과 같이 교서관으로 다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쇄문화사. L.C. 구드리히 개정. 아세아 문화사. 1995. Ⅰ. 개요
Ⅱ. 한국 인쇄술의 역사
Ⅲ. 목판인쇄의 역사
1.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Ⅳ. 금속활자의 역사
1. 창안
2. 보급
3. 발달
4. 활자 부어내기와 인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꼽힌다. 이는 자안대사 천해가 1637년부터 1648년까지 11년간에 걸쳐 동경의 관영사에서 개판한 것으로 1,453부 6,323권으로 된 일본 최초의 대장경이다.
이 장경본의 전반은 목활자로 인쇄하고 후반은 목판인쇄로 하였는데, 현재도 당시의 목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