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비문학개설(장덕순, 일조각, 1971)
한국소설의 이론(조동일, 지식산업사, 1976)
한국문학통사(조동일, 지식산업사, 1994)
한국민속사논총(천혜숙, 한국민속사논총간행위원회, 1996)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조동일, 집문당, 1990)
한국민속과 문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한국민요) I. 민요의 정의 및 개념
II. 민요의 성립과 확장적 전개
III. 민요의 특성 및 형식
1. 민요의 특성
2. 민요의 형식
IV. 민요의 장단 및 종류
1. 민요의 장단
2. 민요의 종류
V. 민요의 문화론적 의미
VI. 참고문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속」, 집문당.
한국여성연구소, (2001), 「새 여성학강의」, 동녘.
李基文, (1981), 「俗談辭典」, 一潮閣.
-----, (1995), 「겨례의 슬기 속담 3000」, 교학사.
李圭泰, (1977), 「韓國人의 意識構造」, 文理社.
김선풍, 리룡득, (1993), 「속담 이야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 동아리
KiteMall http://www.kitemall.co.kr/
/
http://www.kitevillage.com/ Ⅰ.연의 역사
Ⅱ.연 날리는 시기
Ⅲ.연싸움
Ⅳ.연의 종류
Ⅴ.연의 제작법
Ⅵ.연날리기의 방법
Ⅶ.한국연과 관련된 구비문학
Ⅷ.연에 담긴의미
@. 참고자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탈춤’이란?
Ⅱ 탈춤(탈놀이)
1. 탈놀이(탈춤)의 기원설
①산대희기원설
②기악기원설
③제의기원설
④실제목적기원설
2. 탈춤의 종류
1) 황해도
①봉산탈춤
②강령탈춤
2) 경기도
①송파산대놀이
②양주별산대놀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요에 관련된 인터넷 사이트는 굉장히 많았는데 사이버 국악교실 이란 곳을 찾았다. 국악의 이해 , 역사 ,국악이론 , 국악의 종류, 악기종류, 국악곡 소개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국악곡 소개를 클릭하면 쉽게 노래를 들을 수 있었다. 하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속학』11, 한국민속학회.
4) 김열규(1977), "바리데기",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1, 비교문학회.
목 차
〈서사무가〉
〈지노귀굿〉
〈씻김굿〉
〈오구굿〉
<바리데기의 전체 줄거리>
☞ 지역에 따른 바리데기
☞ 지역별로 전승되는 바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 제13호, 1997, 한국아동문학인협회
차은정, “영국 판타지 아동문학 연구”, 숙명여대, 2007
김신연·최재선(2011) : 아동문학의 이해와 활용, 민속원
허덕희, <어린이 독서교육>, 인간과자연사, 1999 1. 서론
2. 아동문학의 종류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流動文學), 표박 문학(漂剝文學), 적층 문학(績層文學), 부동 문학(浮動文學) 등으로도 불려진다. ‘말로 된 비석’, 곧 비석에 새긴 것처럼 유형화하여 전해진다 하여 ‘구비’란 말을 쓰며,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속극의 성장
이 시기에 들어와 민중의 문학 참여가 극대화되어 나타난 대표적 양식이 판소리와 민속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종합 예술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그 대본은 국문학의 한 양식이 된다.
⑴ 구비 서사시
① 기원
어원은 '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