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보
1) 한성기류
2) 안기옥류
3) 박상근류(1905~1949)
4) 심상건류(1889~1965)
5) 함동정월류
6) 김죽파류
7) 성금연류
8) 지성자류
9) 서공철류
10) 김종기류
11) 강태홍류
12) 김병호류
13) 김윤덕류
14) 황병기류
Ⅲ. 가야금산조의 다스름
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향비파, 당비파, 금, 슬, 대쟁, 월금, 공후
▶타현악기 - 양금(금부)
③ 타악기
▶유율악기 - 편종, 특종, 방향, 운라<금부>, 편경, 특경<석부>
▶무율악기 - 자바라, 징, 소금(꽹가리)<금부>, 박, 축, 어<목부>, 부<토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율의 시각 표현 연구 : 가야금 산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강덕원(1988) / 현행 한국전통가곡의 반주선율에 관한 분석적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영숙(1996) / 가야금산조 다스름에 관한 연구 : 선율구성을 중심으로, 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진양조와 마찬가지로 高音域에서 계면조의 절정 부분이 나타났다.
참고문헌
권도희, 가야금산조 평조 유형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4
김해숙, 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김희선·김윤덕, 가야금산조의 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산조
● 심상건은?
● 심상건 가야금 산조의 선율 전개과정
2. 김삼태 가야금 산조
● 김삼태는?
● 김삼태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조구성
(1) 단락 1 (제1장단 - 제17장단)
(2) 단 락 2 (제 18장단- 제 20장단)
(3) 단 락 3 (제2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산조를 비롯하여 거문고 산조·피리산조·아쟁산조·대금한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산조에는 사사계보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바디 또는 제라고도 부르는 유파라는 것이 있어 제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산조의 형식은 진양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조와 판소리.
2. 분단이후 남․북한이 걸어온 길
(1) 남-전통음악의 보존과 창작음악의 발전
(2) 북-그들에게 국악은 무엇이 문제였는가.
(3) 북한의 악기개량의 예-해금
(4) 남한이 보는 북한의 음악
3. 앞으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조는 정서의 심연을 자극하는 완성도 높은 음악이다. 최근 태교음악 연구가들은 태아의 인성 형성과 발달에 있어 거문고산조의 효과에 주목하고 있으며 엄선된 태교음악에는 예외 없이 거문고산조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듯 거문고는 동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9. 해금
10. 아쟁
11.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12. 대금
13. 소금
14. 단소
15. 생황
16. 나각
17. 장구
18. 좌고
19. 소고
20. 박
21. 태평소
Ⅴ.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상설기획공연
Ⅵ.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국제교류활동
Ⅶ. 국악(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조와 판소리.
2. 분단이후 남․북한이 걸어온 길
(1) 남-전통음악의 보존과 창작음악의 발전
(2) 북-그들에게 국악은 무엇이 문제였는가.
(3) 북한의 악기개량의 예-해금
(4) 남한이 보는 북한의 음악
3. 앞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