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예산편성
I. 예산편성의 의의
II. 예산편성의 절차
III. 준예산과 추가경정예산의 편성
1. 준예산
2. 추가경정예산
IV. 예산안의 형식
*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산(당초예산), 수정예산, 성립전사용예산, 추가경정예산으로 구분하며 기타 예산으로 불성립시에 대처하는 준예산제도가 있다.
1) 본예산(지방자치법 제118조)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회계연도마다 예산안을 편성하여 시 도의 경우는 회계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산을 집행했는가를 사후적으로 감독. 행정부의 책임 해제. 감사원의 감사권 발동. 정치적 의의가 강하여 형식적 추인의 성격을 띰.
→회계검사: 실적위주에 그침. 개선요구 뿐 징계요구나 고발은 없음. 형식적임. 지출의 효과성에 주목해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산안의 편성 절차는 본예산안의 편성절차와 원칙적으로 동일하고 정부가 수정예산안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하고자 할 때에는 국무회의의 심의와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추가경정예산
예산이 국회에서 의결된 이후에 새로운 사정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산분석 기능 강화장치(GAO, CBO, NABO) 필요
3)행정부의 예산 편성의 공개와 투명성 확보
Ⅹ. 자본예산
1. 논의의 맥락
- 불경기시 예산의 경제 극복 기능 필요, 순환적 균형 예산(Cyclically Balanced Budget)
- 소비적(경상적) 지출과 투자적(자본적)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