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미 孝효道:도 일더니
오 아비 孝효道:도야
녀르미면 벼개와 돗과 부체 붓고
겨리면 제 모로 니브를 시더니
員원이 나라 : 1. 황향선침 (黃香扇枕) - 황향이 침선에서 부채질하다.
2. 정란각목 (丁蘭刻木) - 정란이 나무를 조각하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로부터의 전통의 잔재를 완전히 씻어버리지 못하고, 많건 적건 그것을 유지하면서 그 기초위에서 표음 적이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근대국어의 문법
1. 조어법 : 중세어에서 지적되었던 용언 어간의 유리적 성격이 근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제一절 자 료
제二절 훈민정음 체계
제三절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제四절 한자음 표기법
제五절 음 운
제六절 문 법
제七절 어휘
제 八 장 근대국어
제一절 자료
제二절 문자 체계, 정서법
제三절 음운
제四절 문법
제五장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강행실도------------------<동신>
동문유해----------------------------<동해>
두시언해----------------------------<두해>
두창경험방--------------------------<두창방>
석보상절----------------------------<석보>
세종어제훈민정음--------------------<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언어적 특징
(1)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고유 명사 표기
(2) 향가
2) 중세 국어의 언어적 특징
(1) 용비어천가
(2) 훈민정음
(3) 언간
(4) 소학언해
3) 근대 국어의 언어적 특징
(1) 삼강행실도류
(2) 두시언해
(3) 역학서류
(4) 동명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