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백산이 되고 세계 지도의 60%가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국가 외교정책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명분을 세우고 거기에 철저히 입각하여 주변국의 외교적, 군사적 도발에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
//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란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호란이 일어난 후, 후금에 패배할 위기에 놓여있으면서도 사대vs척화로 나뉘어 싸운 것만 봐도 명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인식이 어떠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Ⅳ. 참고문헌
한명기, 2020,「조선시대 韓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명기, 2009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 김종원, 1995 『한국사』29, 국사편찬위원회
3. , 1999 『근세동아시아관계사연구』
4. 국방군사연구소, 1996 『한민족전쟁통사』
5. 오수창, 2006 「오해 속 병자호란, 시대적 한계 앞의 인조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5권, 2008, pp. 495-505
한명기, ’이여송과 모문룡’,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2권, 2010, pp.356-383
’선조‘, 인물한국사, 외교통상부, 2010, 1. 서론 : 복잡하게 얽혀있는 한중일 세 나라의 역사
2. 본론 : 왜란과 호란이 한중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한명기, 『임진왜란기 명·일의 협상에 관한 연구』, 국사편찬위원회, 2002.
한명기, 『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 한국학술진흥재단, 2000. 1.조선초기의 외교
2.임진왜란 외교
1)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