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정
5.1 원문
5.2.1 1행 - ‘紫布岩乎邊希’
5.2.2 2행 - ‘執音乎手母牛放敎遺’
5.2.3 3행 - ‘吾盻不喩慚盻伊賜等’
5.2.4 4행 - ‘花盻折叱可獻乎理音如’
5.2.3 우리가 본 《獻花歌》
6. 작품분석
7. 결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의식(美意識)의 일면을 역력히 엿볼 수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노인을 전설적인 인물로 보아 이 노래를 민요의 정착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헌화가(獻花歌)
실명 노옹(失名老翁)
<참고> 김완진 해독과 현대어 풀이
▶ 작품 해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신라 가요의 연구」. 열화당. 1990
辛玹淑. 「<獻花歌>의 佛敎的 考察.」. 1983
沈珠洙. 「獻花歌와 海歌의 硏究」. 1993
李愛淵. 「獻花歌 硏究」. 1988 Ⅰ. 본문
Ⅱ. 내용 요약
Ⅲ. 주제
Ⅳ. 기존의 연구
Ⅴ. 헌화가에 대한 감상평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향가 14수 작품제목과 작가명
①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 득오 (得烏)
② 헌화가 (獻花歌) : 견우노옹 (牽牛老翁)
③ 안민가 (安民歌) : 충담사 (忠談師)
④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 충담사 (忠談師)
⑤ 처용가 (處容歌) : 처용 (處容)
⑥ 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제 무왕의 일대기를 설화를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헌화가(獻花歌)>>
<원문>
紫布岩乎(자포암호)
執音乎手母牛放敎遣(집음호수모우방교견)
吾 兮不喩慙 兮伊賜等
(오 혜불유참 혜이사등)
花 兮折叱可獻乎理音如
(화 혜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