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보길도에 입도하였다고 한다. 부용동(芙蓉洞) : 낙서재 주변 첩첩이 이어진 산봉우리가 마치 연꽃 봉오리가 피어나는 듯 하여 이곳의 지명을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 지음. 고산의 5대손인 윤위가 기록한 보길도지(甫吉島識)에 의하면, 고산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와 같은 암석이 놓여 있다. 그 등에 다리를 가로로 가설하여 \'비홍교(飛虹橋)\'라 하는데, 이를 따라서 누(樓)에 오른다. 비홍교 남쪽에 혹약재연(或躍在淵) 등의 일곱 암석이 있으므로 정자 서쪽의 편액을 \'칠암(七岩)\'이라 하였다. 암석이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보길도(甫吉島)의 수려한 경치에 이끌려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정착한 그 일대를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하고 격자봉(格紫峰) 아래 집을 지어 낙서재(樂書齋)라 하였다. 그는 조상이 물려준 막대한 재산으로 십이정각(十二亭閣)·세연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6.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보길도(甫吉島)에 들어가 은거하였고, 유배지에서 자연을 벗하다 85세 로 생을 마감했다. 고산의 사상은, 어렸을 때부터 접했던《소학(小學)》의 영향으로 유교 의식이 항상 내재해 있었다. 그리고 고산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마음의 여유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보길도(甫吉島)의 수려한 경치에 이끌려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Ⅲ. 고산 윤선도의 작품연구 윤선도의 학술적 업적으로는 <고산유곡> 6권 6책이 전한다. 이 책은 1971년 6월 정조의 어명으로 당시 전라감사 여유린에게 출간하여 바치도록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