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실험 목적
2. 실험 장비
3. 관련 이론
1) 정류 회로
2) 정류 회로의 구성
3) 반파 정류회로에서 오실로스코프와 멀티미터로 측정한 값이 다른 이유
4) 브릿지 뒤에 연결되는 저항의 역할
5) 정전압에서의 제너다오드 역할
6) 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방법
<실험 부품 및 장비>
전원 : 가변 직류 정전압원, 120Vrms 60Hz
장비 : 오실로스코프, EVM 또는 VOM, 0~100mA 직류 밀리 전류계
저항 : 5.6kΩ 1/2W, 100Ω 1W, 120kΩ 2W, 500Ω 5W
커패시터 : 100μF 50V 2개, 25μF 50V
반도체 다이오드 : IN5625 4개 또는 IN4004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커질수록 출력 파형의 첨두치가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 전압 크기와 출력 파형의 진폭의 크기는 비례한다는 이론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VFB와 VBG를 각각 최대로 하는 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변할 수 있는 직류 정전압원 2대
장비 : 디지털 멀티미터, 0~10mA 직류 밀리 전류계 또는 VOM
저항 : 1kΩ, 10kΩ, 2.2MΩ 0.5W
커패시터 : 0.047μF 50V 2개, 100μF 50V
반도체 : 3N187(MOSFET) 또는 대치품
기타 : SPST 스위치 2개
<실험 과정 - 드레인 특성(게이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변인지에 따라 여러 계산법을 통해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2. 키르히호프 전압, 전류 법칙을 통해 제너 다이오드와 LED의 전류 전압을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3. 제너 다이오드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다르게 용도가 정전압 조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