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변 저항을 이용해 다시 정확한 값을 맞추었다.
이렇게 실험이 끝났다.
5. 고찰
처음 정전압 발생기를 만들라고 했을 때 정말 막막했다. 이때 나는 사실 정전압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확실한 개념이 서지 않은 상태였고, 무엇을 만든다는 것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생기의 출력을 1000Hz에서 최소로 조정한다.
8. 오실로스코프로 출력 신호 Vout을 모니터한다. 이때 일그러짐 없는 최대 출력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입력 신호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9. Vout과 Vin의 피크-피크 전압을 측정해서 표에 기록한다. 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실험방법
<실험 부품 및 장비>
전원 : 가변 직류 정전압원, 120Vrms 60Hz
장비 : 오실로스코프, EVM 또는 VOM, 0~100mA 직류 밀리 전류계
저항 : 5.6kΩ 1/2W, 100Ω 1W, 120kΩ 2W, 500Ω 5W
커패시터 : 100μF 50V 2개, 25μF 50V
반도체 다이오드 : IN5625 4개 또는 IN4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커질수록 출력 파형의 첨두치가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 전압 크기와 출력 파형의 진폭의 크기는 비례한다는 이론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VFB와 VBG를 각각 최대로 하는 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변인지에 따라 여러 계산법을 통해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2. 키르히호프 전압, 전류 법칙을 통해 제너 다이오드와 LED의 전류 전압을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3. 제너 다이오드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다르게 용도가 정전압 조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