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어역
시어 및 시구풀이
가시리 배경설화에 대한 견해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뜻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기능
가시리를 고려가요로 보는 이유
고려 속요로서「가시리」의 전승과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조로 삼았다. 고조는 살리면서 사설은 배격한 이유는 사설이 남녀상열지사라는 데 있었는데, 그 구실이 어느 작품에서나 한결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1) <가시리>
(2) <서경별곡>(西京別曲)
(3) <청산별곡>(靑山別曲)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의 「가시리」악보를 보면, 절반 이상이 여음과 후렴구로 불려지고 있다. 여음과 후렴구를 제외하면 그것은 이미 고려가요가 아니다. 여음과 후렴구는 고려가요의 작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Ⅲ. 결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시리의 시행 표기상 위치에도 차이가 있다. 양주동은 『麗謠箋注』에서 가시리의 '나다'을 시행 초두에 놓았다.
『시용향악보』의 16정간법에 의하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다/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위/'로 되어 '나다'은 시행 말미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악학궤범
http://ko.wikipedia.org/wiki/%EC%8B%9C%EC%9A%A9%ED%96%A5%EC%95%85%EB%B3%B4
네이버 백과사전 고려가요 http://100.naver.com/100.nhn?docid=12944 1.서론
2.본론
2-1. 고려가요
2-2. 가시리
2-3. 가시리와 대중가요
2-4. 가시리와 나
2-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