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살아남은 고려인들은 우리 한민족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이들은 고국을 그리워 하는데, 여러 문제로 인해서 쉽게 고국에 오지를 못한다. 사할린 지역의 고려인들도 겨우 겨우 최근에야 들어서 귀화를 하고 있다. 이민 2세대 이상은 오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강제이주 70년」연재기사. 동아일보. 2007.01.01-01.05 「'수난의 고려인' 연해주 이주사」. SBS 8시 뉴스.SBS TV 2005-08-09 「고려인, 또 다른 이름의 한민족」.CGNTV 이슈공감.2007.05.19 (사)고려인돕기운동본부 1.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2. 그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간도문제 3. 1905 - 1931年 : 자유이민시기 4. 1931 - 1945年 : 강제집단이민시기 Ⅱ. 해방 이후 중국 내 조선족의 발자취 1. 중국 동북지역의 항일운동 2. 중화인민공화국의 건설과 조선족 3.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이후의 조선족 -참고문헌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7.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강제 이주사는 현재 고려인들의 삶에 정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태동한 고려인들의 극동 고향 의식과 이방인이라는 민족적 방랑자 의식을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현재 고려인들의 모습을 우리에게 투영하고 있다. 박미하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4.강제 이주 이전 한인의 중앙아시아 이주 5.1937년 강제이주-이주경로와 과정 6.소연방의 붕괴와 한인의 분산 7.1990년대 이후 소련·러시아 한인의 현황 8.정착촌 고려인 실태 3.결론 1. 구소련 한인의 민족·문화적 정체성 2. 당면 문제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