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2.1 견우노옹(牽牛老翁)
2.2 수로부인(水路夫人)
2.3 암소(牽牛)
2.4 주선(晝饍)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배경설화 분석)
5. 텍스트 확정
5.1 원문
5.2.1 1행 - ‘紫布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의식(美意識)의 일면을 역력히 엿볼 수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노인을 전설적인 인물로 보아 이 노래를 민요의 정착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헌화가(獻花歌)
실명 노옹(失名老翁)
<참고> 김완진 해독과 현대어 풀이
▶ 작품 해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牽牛
견우
(風毒脚氣腸秘,蜜丸日服,亦生呑之。)
견우는 풍독 각기 장의 변비에 꿀로 환을 만들어 날마다 먹으면 또한 날것으로 삼킨다.
威靈仙
위령선
(脚氣入腹,脹悶喘急,爲末,酒服二錢, 或爲丸服,痛減 藥亦減。)
위령선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② ‘수로부인(水路夫人)’
③ ‘척촉화(躑躅花)’
2) ‘용거리’―죽음과 재생
① ‘해룡(海龍)’과 ‘용궁’
② ‘입해(入海)’와 ‘출해(出海)’
③ ‘노옹(老翁)’
3. 시가문맥의 성격과 기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옹(老翁)이 나와 경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춤을 추다가 하시가카리로 퇴장한다. 후반에는 신이 등장하여 춤과 노래로 ‘천하태평’,‘국토안전’ 등의 축언(祝言)을 외워 의식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곡목이다. 신은 남신, 여신, 노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