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답하고 단단하며 구토와 하리하면 대시호탕으로 주치한다.
주해
傷寒不汗出,得汗出則解.
상한병에 땀이 나지 않으면 땀을 내면 풀린다.
不解者,以有風而誤於偏攻.
풀리지 않음은 풍사가 있어서 치우쳐서 잘못 공격함이다.
熱反入裏,所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夫以病在太陽,一誤下之餘,而其變亂有如此者,是故君子不可不也。
병이 태양병에 있으면 한번 잘못 사하한 나머지는 그 변란이 이와 같음이 있으므로 군자는 삼가지 않을 수 없다. 37
38
39
40
41
4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재양\', \'열결방광\' 등의 몇 예를 제외하고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반면에 \'유음무양고야\', \'음양기병갈\', \'망양\', \'무양야\', \'무양즉음독\', \'양성즉혈\', \'병인유한\', \'위중유한\', \'차위열입혈실\' 등 1413자항에서는 상당히 자유롭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과 고을의 평소 약을 복약하지 못한 사람에 통치처방이니 사람이 잘 사용함에 달려 있다. - 마황행인음
- 시호반하탕
- 대강활탕
- 대청룡탕
- 갈근가반하탕
- 황금반하생강탕
- 태양병병
- 인중황환
- 여의단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양병에 먼저 발한하고 풀리지 않아 다시 사하하여 부맥이 낫지 않으면 부맥은 밖에 있는데 반대로 사하하므로 낫지 않으니, 지금 부맥임은 병이 밖에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응당 반드시 밖을 풀어야 나으니 계지탕으로 주치함이 의당하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