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은 보통 함경남•북도를 포함하는 동북방언, 평안남•북도를 포함하는 서북방언, 경상남•북도를 포함하는 동남방언, 전라남•북도를 포함하는 서남방언, 제주도와 그 일대를 포함하는 제주방언, 그리고 나머지 지역(경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1.12.2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김계곤, 경기도사투리연구> 서 울 경 기 도 방 언
1. 모음체계
2. 음장
3. 활용상 ‘으, ㄹ’첨가
4. 연결어미
5. 문법특징
6. 어휘특징
참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경기방언권의 경계
2. 음운체계와 특징
3. 문법특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모음의 자질이 상실되는 것에서 기인했다. 이는 또한 모음체계상 /o/와 / /가 원순성에 의한 대립을 이루고 있는 짝임을 전제로 한다.
t-구개음화 또한 경기도 방언에서 잘 나타나는 음운현상이다. 가령 \'밭이>바치(田)\', \'맏이>마지(맏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실정이다. 小倉進平는 중부방언을 ‘경기도방언’이라고 불렀고, 河野六卽는 ‘중선방언’이라고 불렀다.
지금까지의 방언권에 대한 여러 학설에는 방언권의 명칭, 방언권의 크기, 등어선속, 등어선의 등급화, 방언 특징의 범주화 등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