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탕에 초과, 정향, 목향을 기마하여 수기를 말리고 비를 건전케 한다.
或用 理中湯에 加陳皮 半夏커나 或單半夏丸을 用芎歸煎湯으로 下커나 或補中益氣湯 平胃散하니라.
혹은 이중탕에 진피와 반하를 가미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단미반하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 이중탕으로써 투여하여도 하리가 더욱 심해짐은 치유가 잘못됨을 말함이다.
理中者已下,乃明其誤而出其治.
이중탕은 이하 구절은 그 잘못하여 치료를 함을 밝혔다.
難經曰,中焦者,在胃中脘,主腐熟水穀,下焦者,當膀胱上口,主分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 감초작약탕, 감초복령탕, 자감초탕, 마황탕, 계지탕, 청룡탕, 이중탕, 사역탕, 조위승기탕, 건중탕, 소시호탕, 백호탕등에 감초를 중시하여 사용하며 성공을 찬조하지 않음이 없었다.
如後人益氣、補中、瀉火、解毒諸劑,皆倚甘草爲君,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 (야간 빈뇨가 있고 소변색이 붉을 때)
- 백호가인삼탕 (갈증이 아주 심할 때)
- 계지복령환 (손발이 차고 상역감이 있을 때)
- 온경탕 (손발과 아랫배가 찰 때)
- 당귀작약산 (약간 붓고 허리가 아플 때)
- 이중탕 (상복부가 냉할 때)
- 보중익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지탕이 좋으며, 위가 무력하고 설사가 날 때에는 이중탕이나 반하사심탕이 좋다.
보약으로는 유명한 십전대보탕, 보증익기탕 등이 좋고 인삼, 부자, 쑥 등의 몸을 덥히는 약이 체질에 알맞다. 서문
1. 오행체질
가. 목형인
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