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의 일본관계/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 을지문덕 : 고구려 : 수나라 백만 대군을 물리치다/김부식/한국퍼킨스 한국삐아제/2004 1.
서론
2.
본론
(1) 고구려와 수의 전쟁
1) 1차 배경
2) 1차 전쟁
3) 2차 전쟁 배경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4
김재만, 1983「오대와 후삼국, 고려초기 관계사」『대동문화연구』17
이기동, 1997「羅末麗初 南中國 여러 나라와의 交涉」『歷史學報』155 Ⅰ. 머리말
Ⅱ. 후백제의 국제관계
Ⅲ. 후고구려의 국제관계
Ⅳ. 고려의 국제관계
Ⅴ. 맺음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는 고립된 가운데 멸망하고 만 것이다.
맺음말
고구려의 대외관계는 국제사회에서의 존립을 위한 세력균형과 자국의 이익추구라고 하는 실리적인 욕구가 깔려 있으며, 그 때문에 대외정책 그 자체는 언제나 변화할 수 있는 가변성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는 광개토왕, 장수왕대에 와서 고국원왕의 죽음으로 일시 중단되었던 대외 팽창활동을 본질적으로 추진하여 마침내 대제국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4세기 중엽 첫 무력충돌 이후 고구려와 백제와의 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고구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8.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f Koguryo』,코리아쇼케이스, 2004, p.328.
이후 돌궐은 수나라에 복속되었고 돌궐은 683년까지 독립하지 못하였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고구려 유민과 돌궐의 여러 부족들은 당에 대한 항쟁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게 되었다. 683년 독립에 성공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