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행하는 일이 교회의 일치적인 사명이다. 오늘 우리의 교회는 우리 시대의 교회적 책임을 신실하게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11.고려신학교의 설립과 고신교단의 형성,
12.1950년대 이후의 교회
13.오늘의 한국교회,
14.내일을 위한 교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신학교 설립
조신신학교의 자유주의 신학에 입각한 교육은 평소 보수 신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보수계 교계 지도자들의 행보를 재촉했다. 이에 한상동, 박윤선, 주남선, 손양원 목사 등은 1946년 5월 20일 신학교 설립 기성회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학교였다. 그러나 옥고를 치른 목사들과 망명했던 목사들은 총회가 여전히 조선신학교를 유일한 신학교로 인준한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으므로 보수적인 신학의 재건을 위해 1946년 9월 부산에 고려신학교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그해 12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900원
- 등록일 2020.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립.
b. 약을 쓰지 아니하고 기도로 병 고친다고 주장.
Ⅴ. 교회(기독교) 교파와 한국장로교파
1. 고신(고신)
고려파(고려신학교, 부산), 신사참배 항거한 출옥성도(Living Martyr, 주남선, 한상동, 손양원)들이 1951년 장로교 교권주의자들에 축출 당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학교는 친일파의 성격을 갖고 개교하였으며, 자유주의 신학을 확대하는 역할을 했다. 신정통주의 신학을 따르는 김재준을 중심한 동 신학교는 교회 내의 갈등을 촉진시켰다. 이런 가운데 1946년 박윤선 박사를 중심으로 고려 신학교가 설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