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문화』, 충북민예총 문화예술연구소,1997. p.30.
정덕형, 「깨달음의 이야기-직지」, http://www.jikjicorea.com/second.html 2000년 7월 10일.
천혜봉, "고려 사주(寺鑄) 활자본 『불조직지심체요절』", 『직지의 세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1998. p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활자
Ⅲ. 신라, 고려, 조선의 목판활자(목판인쇄, 목활자)
1. 신라의 목판인쇄
2. 고려의 목판인쇄
3. 조선의 목판인쇄
Ⅳ. 금속활자의 개념
1. 금속활자에 대한 역사
2. 금속활자의 모양과 명칭
3. 금속활자의 서체
4. 활자의 주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활자(木活字)를 새겨서 인쇄하였다.
宣祖~孝宗에 이르는 4대의 실록은 그러한 어려움 속에서 간행된 것이다.
顯宗實錄의 간행부터는 주자(鑄字) 인쇄가 회복되어 哲宗實錄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조선왕조실록과 고려사의 편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술과 조판술이 미숙했던 고려시대에 관서(官署)가 아닌 지방의 사찰이 주성하여 찍은 것이기 때문에 활자의 크기와 글자의 모양이 고르지 않고, 부족활자를 목활자로 섞어 사용했기 때문에 인쇄상태가 조잡하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만 전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쇄는 주로 주자소와 교서관, 규장각이 담당하여왔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의 인쇄는 8세기초에 목판인쇄술을 시작으로 고려시대 금속활자인쇄술로 이어져 조선시대까지 계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목판인쇄술은 글자가 만들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