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자는 다소 이질적이므로 별도로 언급한다.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은 모두 버림받은 여성의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여성화자가 버림받았다는 사실은 다음에서 보듯 그 문면에 뚜렷이 부각되고 있다. 이하 고려속요의 인용은 편의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자가 그리는 대상을 ‘녹사(錄事)님’이라고 한 데서, 서경별곡은 길쌈하던 베마저 버리고 님을 좇겠다는 말을 통해서, 상저가는 방아찧는 일을 하며 부른 노래라는 점에서, 그 화자가 여성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들 작품은 그 어휘비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자가 님을 그리워하는 목소리를 빌어 연군(戀君)의 정을 메타포화한 것이지만, 그 연군의 메타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사(相思)의 어조로 곧바로 치환될 수 있는 작품이며, 실제로 조선후기 가창문화권에서는 그 연군의 메타포가 작동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전춘별사의 민요적 성격」, 어문교육논집 제12집, 1992
김쾌덕, 「만전춘별사 5연의 시적 화자와 어휘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논집 제18집, 1996
박노준, 『고려 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5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2001
윤성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6.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요의 향유계층과 그 성격」,『고려시대의 가요문학』(새문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지식산업사, 2005)
김쾌덕, 「<만전춘별사>의 민요적 성격과 시적 화자」,『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국학자료원, 2001)
김상억,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