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법, 박문각 2005
김동희, 행정법[요점정리 및 문제해설], 신조사 2005
서정범, 행정법총론 중요쟁점핵심요약정리, TOP 2005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05
이병철, 행정법강의, 유스티니아누스 2005 [1] 공법행위
1. 정의 및 종류
(1) 정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이 사인의 공법행위를 취소하면 그 행정행위도 당연 무효이고, 효력이 없다고 본다.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공무원 甲이 국정원 공무원의 부정을 알아, 국정원의 공무원이 甲에게 압박을 넣었을 때, 할 수 없이 甲은 사표를 내어 지방자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런 영향이 없다.
2. 소수설
(1) 원칙 : 취소성의 원칙
사인의 공법행위에 흠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 행정행위는 취소할 수 있는 것이 됨이 원칙이라고 보아야 한다. 본래 행정행위는 행정청의 일방적 행위로서의 성질을 가지는 바, 만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8.0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불과한 경우에는 행정행위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사인의 공법행위가 행정행위의 필요적 전제조건인 경우에는 행정행위의 효력에도 영향을 미쳐 하자있는 행위가 된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르면, 허가에 대한 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서주의: 행정절차법 제17조 제1항).
4) 효력발생시기
법에서 달리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는 한 민법에서와 같이 도달주의에 의하여야 할 것이다.
5) 부관
부관을 붙일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6) 철회보정
사인의 공법행위에 의하여 행정처분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