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 오디세이(정혜경 지음) Ⅰ.서론
Ⅱ.본론
1. 궁중음식
2. 계절 • 세시풍습에 따른 한식
(1) 설
(2) 정월대보름
(3) 삼복
(4) 추석
(5) 동지
3. 삶의 중요한 기점(통과의례)마다 먹은 한식
(1) 관례
(2) 혼례
(3) 상례 및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은 과실로는 밤, 대추, 곶감 또는 사과, 배 같은 것을 차리고육포도 놓으며, 곡식으로는 쌀, 콩, 팥 같은 것을 놓는다. 닭 대신에 숭어를 한 쌍 놓기도 함
손님에게는 국수장국을 대접.
폐백 : 폐백은 신부가 신랑의 부모님께 인사를 드리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에서도 자기만의 고유 전통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러시아 전통 음식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음식점인 루스코예 비스트로와 욜키팔기가 우리의 시선을 끈다.
참고문헌
구난숙 외 / 세계속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은 관습을 나타내는데, 음식 속에 여러 가지 속뜻을 담고 있어서 그동안 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매개체로역할을 해왔다. 특히 인간의 탄생, 삼칠일, 백일, 돌, 관례, 혼례, 회갑례, 고희례, 회혼례, 상례, 제례 등 여러 통과의례를 거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 한림출판사
○ 최태원(1981), 한국사회풍속사연구, 경인문화사
○ 한국의민속과문화, 김문사 Ⅰ. 정월대보름의 기원
Ⅱ.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1. 약식
2. 부스럼깨기
3. 귀밝이 술
4. 오곡 밥
5. 복쌈
Ⅲ. 정월대보름에 하는 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