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원성을 인정하는 실정법적 근거로 평가할 수는 없다는 소극설이 있다.
Ⅲ. 맺는 말본론에서는 관습법, 판례법, 조리법 등 불문법에 관하여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여 보았다. 이런 불문법들의 법원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소수설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국가에 있어서 법률의 흠결시에 법관이 재판을 거부할 수 없다는 사실에 기인하기 때문이며 조리를 법원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관습법, 판례법, 조리법의 대해 예를 들어 살펴보았다. 관습법은 성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문법.
- 관습법의 성립요건: 관습이 존재하여야 함, 일반인이 법규범이라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함, 사회질서에 위반되지 않아야 함, 법령의 규정에 의해 인정되거나 법령에 규정이 없는 사항에 관한 것이어야 함.
② 판례법(判例法)
- 법원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문법이 보완적 기능을 하는 것이다.
? 불문법(不文法) ★★
법규범의 존재 형식이 제정되지 않은 법체계에 의하는 것을 말한며 비제정법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보면 관습법(慣習法)이나 판례법(判例法), 조리(條理)가 이에 속한다.
|
- 페이지 162페이지
- 가격 8,200원
- 등록일 2014.04.02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를 들어 윤찬영의 경우(2004: 83),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의 목적적 이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회보장법(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과 사회사업법(사회복지서비스법), 기타 사회정책관련법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현외성의 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